-위협받는 경유차, 행방은 어디로? 문재인 정부의 미세먼지 감축 대책이 자동차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대선운동 당시 내세웠던 문 캠프는 경유차를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오는 2030년까지 개인용 경유차를 전면 금지하겠다는 파격(?)적인 공약을 내세웠기 때문이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아직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정책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공약을 시행하면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2030 개인 경유차 퇴출’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본지는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경유차관련 정책의 영향과 실행 가능성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국토교통부 자동차 등록통계에 따르면 올 3월 현재 승용차는 1,752만1,259대다. 이 가운데 휘발유차는 1,016만3,445대, 경유차는 519만2,175대, LPG차는 189만6,819대가 운행중이다. 전체 승용차 중 경유차의 비중은 30%를 밑돌지만 올해 2월까지 신규등록부문에선 경유차(10만6,554대, 46.9%)가 휘발유차(10만394대, 44.0%)에 앞섰다. 가장 큰 이유는 SUV 판매 호조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판매된 세단형 승용차는 80만1,347대, SUV를 포함한 RV는 54만2,032대로 RV 판매비중이 40.3%에 달했다. 세계적인 SUV 인기현상이 한국에서도 예외없이 나타나는 형국이다. 아웃도어 열풍으로 여행용 자동차 수요가 크게 늘어 자동차업체들은 앞다퉈 경쟁력있는 신형 SUV를 시장에 투입했다. 소형 SUV 등 기존에 없던 새로운 세그먼트도 등장했다.
SUV는 세단보다 크고 무겁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최대토크가 크고 열효율이 좋은 경유 엔진이 대세로 자리잡았다. 결국 "개인용 경유차 금지" 정책은 경유 SUV의 수요를 강제적으로 억제하는 셈이다. 이 경우 덩치 큰 경유 SUV의 수요가 어디로 흩어질 지가 관건이다. 휘발유와 LPG, 전기차 등 연료별 비중의 변화는 시장과 환경 모두에 큰 영향을 끼쳐서다.
경유 SUV를 탈 수 없다면 소비자는 과연 어떤 유종을 고르게 될까. 당연히 SUV를 포기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완성차업계는 휘발유와 LPG SUV로 이동을 예상한다. 일부 브랜드가 선보인 하이브리드 SUV도 선택이 가능하다. 또 2030년이면 전기 SUV의 상용화 가능성도 충분하다.
경유 SUV가 휘발유 및 LPG로 이동한다면 정부가 의도한대로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일부 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그러나 문제는 이산화탄소 배출이다. 동일한 수준의 기술을 가정했을 때 경유차는 내연기관 중 효율이 가장 높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동일한 배기량과 기술 수준에선 경유차가 가장 낮다.
전문가들은 이런 이유로 운송연료를 어느 하나로 집중하는 건 미래 관점에서 오히려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고 조언한다. 각 연료마다 장단점이 분명한 만큼 시장에서 조화롭게 운영해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뜻이다. 최근 미세먼지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경유차 감축에 관심을 집중했지만 판매 "원천봉쇄"라는 강제적 수요관리대책은 자칫 에너지 균형을 깨뜨려 다른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박재용 자동차미래연구소 소장은 "효과적인 배출가스 관리와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측면 모두를 고려했을 때 한 가지 에너지에 집중하거나, 이용 가능한 특정 에너지를 완전히 배제하는 건 곤란하다"며 "현재 정확한 정부의 정책안이 나오지 않았지만 개인의 경유차 구매를 전면 금지한다는 건 배출가스 특히 이산화탄소 관리 측면에선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자율주행차의 궁극은 교통사고 0"▶ [하이빔]업무용 차를 개인이 공유하는 시대▶ 똑똑한 자동차 운행하려면 안전검사 깐깐해야▶ 기아차, 스팅어 고급형 구매 적극 유도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