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빔]수소와 배터리의 대형 전기차 전쟁

입력 2022년02월28일 00시00분 권용주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모터에 필요한 전기, 어떻게 만들 것인가

 20톤에 달하는 화물이 있다. 이를 600㎞ 가량 떨어진 곳으로 옮겨야 한다. 흔히 말하는 물류(物流)다. 이때 선택 가능한 이동 수단은 단연 대형 트럭이다. 그리고 화물이 컨테이너 등에 적재돼 있다면 트랙터가 동원되고 싣고 가야 한다면 대형 카고가 활용된다. 그런데 600㎞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무엇으로 할까? 사용 가능한 에너지는 디젤, 천연가스, 전기, 수소 등이 떠오른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대부분 디젤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탄소 감축을 이유로 새로운 에너지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 가운데 천연가스는 이미 버스 등에 보급돼 전환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대형 트럭 부문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분명하지만 탄소 배출은 막을 수 없어서다. 

 그래서 주목하는 에너지가 전기다. 지원도 많고 정부 또한 전환에 적극적이다. 그리고 여기서 외부 충전으로 배터리에 전기를 담아 모터를 돌리는 배터리 전기차와 외부에서 수소를 넣은 뒤 운행 중 끊임없이 자가 발전하는 수소 전기차로 구분된다. 그런데 현재 등장하는 대형 전기 트럭은 최장 300㎞ 정도를 갈 수 있는 배터리가 탑재됐다. 600㎞의 거리를 이동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게다가 300㎞ 주행을 위한 배터리 용량이 540㎾h 정도여서 전기를 담는 시간도 오래 걸린다. 현재 국내에 많이 보급된 50㎾급 충전기를 활용해도 무려 10시간 이상이 필요하다. 그래서 에너지를 담는 데 10분이 채 걸리지 않는 수소로 전기를 만드는 방법이 동원된다. 하지만 수소는 충전소가 많지 않아 불편하다. 쉽게 보면 에너지를 찾아다닐 것인가? 아니면 오래 걸려도 가까운 곳에서 담을 것인가의 관점이다. 그렇다고 배터리 용량을 더 늘리는 것은 부담이다. 

 이 점을 놓고 제조사의 미래형 트럭 방향도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배터리 전기 트럭을 선호하는 곳은 테슬라와 볼보트럭 등이다.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는 충전 용량 확대로 해결하자는 입장이다. 전기를 배터리에 넣을 때 고압으로 넣으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며 자주 운행하는 구간에 전용 충전기를 설치해 전기 트럭을 활성화하려 한다. 그런데 500㎾h가 넘는 배터리의 무게가 단점이다. 물류는 기본적으로 한번 운행 때 물건을 최대한 많이 옮겨야 이익이 난다. 그런데 배터리 무게 탓에 실제 적재 가능한 물건의 수량이 줄어들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배터리 전기 트럭 회사도 다시 세분화된다. 적재보다 견인에 초점을 맞추는 트랙터에만 배터리 전기를 쓰려는 곳과 적재용도 전동화를 하겠다는 전략이 엇갈린다.  

 그러자 견인 및 적재를 가리지 않고 수소로 가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전용 고압 충전기를 설치하는 것처럼 수소 스테이션을 거점에 설치하고 수소를 넣으면 주행거리는 늘리되 에너지 주입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극대화될 수 있어서다. 하지만 수소는 충전소를 구축하는데 비용이 많이 투입된다. 그리고 수소 또한 어디선가 옮겨야 하기에 유통 비용은 추가될 수 있다. 그래서 수소를 넣어주는 곳에서 수소를 직접 생산하는 방안이 해결책으로 떠오르는 중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수소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이 LPG 또는 LNG 등의 화석연료다. 그럼에도 해당 방식이 주목받는 것은 원료에서 수소를 추출한 후 남는 탄소를 포집해 필요한 곳에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기 중에 배출하면 문제가 되지만 탄소를 떼어내 모아 두었다가 다시 사용하자는 목소리다.  

 이런 흐름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도 제각각이다. 배터리에 방점을 두는 쪽은 배터리 전기 트럭이 오히려 탄소 중립으로 가는 빠른 길이라며 우선 보급을 외치는 반면 수소 전기 분야는 최종적으로 모터를 구동하는 전기 생산 방식을 바꾸지 않는 한 진정한 탄소 중립이 어렵다고 주장한다. 배터리에 담는 전기의 대부분이 아직은 화석연료로 만들어지는 탓이다. 따라서 둘은 공존할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조금씩 힘을 얻고 있다. 배터리 전기차가 탄소 감축에 방점을 둔 전략이라면 수소 전기는 탄소 중립을 바라보고 있어서다. 결국 탄소 감축을 통해 중립으로 가는 과정이라면 공존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우리는 어느 쪽으로 나아가야 할까? 현상만 보면 수소 전기 쪽으로 급격히 기울어가는 것 같지만 배터리 전기 트럭의 연 이은 등장을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은 것 같다. 

 권용주 편집위원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