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114만평 새만금 농지에 정밀농업 심는다

입력 2025년05월20일 15시36분 김성환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기초 식량작물에 정밀농업 솔루션 적용
 -데이터 확보해 기술 고도화 추진 노력

 

 대동이 전북 김제시 새만금 복합곡물전문생산단지 사업자로 선정된 한마음 영농조합법인(239㏊,72만평), 송주 영농조합법인(137㏊,42만평)과 함께 최장 10년간 정밀농업 데이터 수집 및 솔루션 고도화 협력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의 복합곡물전문생산단지 임대 공모 사업의 일환이다. 농어촌공사는 임대 사업자 선정을 위해 영농 계획과 수행 능력을 주요 평가 기준으로 삼았다. 

 

 특히, 정밀농업 도입 계획이 핵심 평가 항목으로 포함돼 기대를 높였다. 이후 정밀농업을 적극 반영한 계획을 제출한 한마음·송주 영농법인을 사업자로 선정했고 이들과 함께 대동이 기술 파트너로 참여할 예정이다.

 

 이 법인들이 올해 6월부터 농사를 짓는 약 114만평(376ha) 농경지는 축구장 약 526개 규모에 해당한다. 또 대동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 간 쌀과 콩을 중심으로 정밀농업 실증을 수행했던 약29만 평의 4배 수준에 이른다. 농지에서는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밀, 콩, 옥수수 등 기초 식량작물이 재배될 예정으로 쌀은 제외한다.

 

 대동은 해당 농지에서 토양 분석 기반의 맞춤 비료 처방, 드론·위성 생육 모니터링 기반의 비료 변량 살포, 자율작업 농기계 사용 데이터 수집, 생육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 생육 솔루션 개발 등 정밀농업 솔루션을 적용하는 한편 관련 기술을 고도화 할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새만금 복합 곡물전문생산단지를 식량 안보와 미래농생명산업의 중요 거점으로 낙점한 만큼 대동은 자사 미래농업 기술 역량을 총동원할 방침이다. 최장 10년의 안정적인 영농 환경 속에서 정밀농업 외에도 대동이 개발 중인 자율작업 농기계, 스마트 작업기, 농업 로봇을 도입해 다양한 농업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AI농업 기술 고도화 및 국내 보급화를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이광욱 대동 국내사업부문장은 "이번 새만금 프로젝트를 통해 기초 식량작물에 대한 정밀농업 솔루션의 실효성을 입증하고 향후 전국 단위 확산의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