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사양 대거 적용한 ‘베스트 셀렉션
-단순 가성비 넘어 ‘사양 역전’ 현상까지
기아가 최근 ‘The 2026 K5’·‘The 2026 K8’을 국내 공식 출시하면서 신규 트림인 베스트셀렉션을 선보였다. 상위 트림의 주요 사양을 기본 적용해 전반적인 상품성과 편의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합리적인 가격까지 갖춰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베스트 셀렉션은 중간급 가격대임에도 최상위 트림의 핵심 사양을 대거 포함한 ‘실속파’ 트림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K5의 경우 프레스티지 대비 108만~121만 원만 더 부담하면 실내외 디자인과 편의 및 안전 품목을 대거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외관은 최상위 트림인 시그니처에 적용 중인 프로젝션 LED 헤드램프, 프론트 LED 턴시그널 램프, LED 리어 콤비네이션램프가 들어가고 실내 역시 블랙 스웨이드 헤드라이닝&A/B필라가 기본이다. 여기에 앞좌석 파워시트, 앞좌석 전동식 허리지지대, 동승석 워크인 디바이스, 동승석 릴렉션 컴포트시트 등 풍부한 기능성을 갖췄다.
편의 품목은 상위 트림인 노블레스의 핵심 선호 사양을 기본화 했으며 하이패스 자동결제 시스템(e hi-pass), 레인센서, 터치타입 독립제어 풀오토 에어컨(운전석/동승석), 공기청정 시스템(미세먼지 센서 포함), 오토디포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정차&재출발),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고속도로/자동차 전용도로 內 안전구간/곡선로), 고속도로 주행보조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에 시그니처 기본 사양인 동성석 동승석 이지 억세스도 갖췄다. 안전 품목으로는 후측방 충돌 경고,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전진 출차),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 안전 하차 보조, 전방 충돌방지 보조(교차로 대향차/정면 대향차) 등이 들어간다.
신형 K5의 판매 가격은 2.0 가솔린의 경우 스마트 셀렉션 2,724만 원, 프레스티지 2,808만 원, 베스트 셀렉션 2,928만 원, 노블레스 3,154만 원, 시그니처 3,469만 원이며 1.6 가솔린 터보는 프레스티지 2,887만 원, 베스트 셀렉션 3,008만 원, 노블레스 3,276만 원, 시그니처 3,546만 원이다.
이와 함께 하이브리드는 프레스티지 3,241만 원, 베스트 셀렉션 3,349만 원, 노블레스 3,573만 원, 시그니처 3,868만 원이다(개별소비세 3.5% 기준, 하이브리드 모델은 친환경차 세제혜택 반영 기준).
K8 역시 노블레스 라이트 대비 109만~134만 원 추가 시 상위 트림의 핵심 선호 사양을 합리적인 가격에 누릴 수 있다. 외관은 245/45 R18 타이어&전면가공 휠, 뒷좌석 이중접합 차음 글라스가 기본이고 실내 역시 상위 트림인 노블레스에 들어가는 블랙 원톤, 라운지 브라운 투톤 또는 뉴트럴 베이지 투톤 인테리어 중 선택할 수 있다. 심지어 최상위 트림인 시그니처의 기본 사양도 들어간다. 대표적으로 다이내믹 앰비언트 라이트, 스웨이드 내장재(헤드라이닝, 필라트림)가 있다.
편의 품목은 서라운드 뷰 모니터, 후측방 모니터,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스마트폰 무선충전 시스템(듀얼), 스마트 파워 트렁크, 오토 디포그, 동승석 통풍시트 등이 기본이다. 또 안전 품목으로는 측방 주차 거리 경고,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 등 상위 트림 노블레스 사양이 탑재됐다.
신형 K8의 판매 가격은 2.5 가솔린 기준 노블레스 라이트 3,679만 원, 베스트 셀렉션 3,813만 원, 노블레스 4,026만 원, 시그니처 4,390만 원, 시그니처 블랙 4,546만 원이며 3.5 가솔린은 노블레스 라이트 3,987만 원, 베스트 셀렉션 4,096만 원, 노블레스 4,309만 원, 시그니처 4,673만 원, 시그니처 블랙 4,829만 원이다.
또 하이브리드는 노블레스 라이트 4,206만 원, 베스트 셀렉션 4,339만 원, 노블레스 4,552만 원, 시그니처 4,917만 원, 시그니처 블랙 5,052만 원이다(개별소비세 3.5% 기준, 하이브리드 모델은 친환경차 세제혜택 반영 기준).
이번 K5·K8의 연식변경 핵심은 ‘가격 동결’과 ‘사양 파격 확대’다. 최근 차 가격 인상이 일반화된 시장에서 기아는 K5, K8 주요 트림의 가격을 동결하며 소비자의 체감 가치를 크게 높였다. 여기에 베스트 셀렉션은 단 100만 원 안팎의 추가 비용으로 상위 트림의 프리미엄 품목을 확보할 수 있어 단순 실용성을 넘어 고급감까지 끌어올렸다.
이처럼 2026년형 K5·K8은 가격을 묶고 사양을 풀어 ‘가성비’와 ‘가심비’를 동시에 잡았다. 베스트 셀렉션은 기존의 트림 구조를 흔들며 소비자 선택의 중심에 설 가능성이 높다. 이번 전략이 실제 판매 성적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