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도입하는 독일 경찰, 자세히 살펴보니

입력 2025년09월23일 08시30분 김성환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8,500대 경찰차, 전동화 파워트레인으로 순차적 변경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경찰의 역할 강조해

 

 독일 경찰이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넘어 순수 전기차까지 전동화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경찰차로 전환 계획을 밝혔다.

 



 

 지난 9월 초 열린 IAA 2025에서는 직접 전기 경찰차를 선보이며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이에른 경찰은 약 8,500대의 차를 운용 중이며 이 중 절반 이상이 도심 속 민원을 해결하는 순찰차다. 해당 차들을 우선적으로 전기차로 바꾸고 이후 순차적으로 나머지 경찰차도 전동화 파워트레인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지속 가능성·환경보호를 위한 결과이며 추진 과정도 신속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경찰차에 적합한 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를 가지고 실증 테스트도 병행한다고 덧붙였다.

 

 전기차 도입 목적으로는 먼저, 환경보호가 꼽힌다. 배출가스가 없어 도심과 교외에서의 환경 부담을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기후 보호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실용성 및 현장 활용에 적합하다는 평이다. 경찰 업무(순찰, 긴급 출동 등)에 실제로 투입 가능함을 검증하고 있으며 충전 인프라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운용도 가능하다.

 

 또 비용 효율성도 중요하다. 유지보수 비용이 내연기관차보다 낮고 장기적으로는 총소유비용(TCO)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기술적 장점도 가지고 있다. 전기 구동 특성상 가속 응답이 빠르고 조용하다. 장시간 차에 있어야 하는 경찰관들을 비롯해 탑승자와 주변 보행자에게도 쾌적함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 외에 전기차로 바꾸면 정치·법적 요구에도 충실히 따를 수 있다. 연방정부 및 주정부의 기후 보호 정책에 부합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혁신 촉진이다. 전기차 운용 경험은 향후 기술 발전과 보안·운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IAA 현장에서는 BMW i5 e드라이브40 투어링 경찰차도 전시돼 있었다. 최고출력 250kW(340마력)을 내고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 가속시간은 6.1초에 불과하다. 81.2kWh 배터리를 탑재해 주행가능거리는 400km를 훌쩍 넘기고 전비는 18.8kWh/100km 수준이다. 또 충전 속도는 AC 22kW, DC 205kW를 지원하고 공차중량은 2,760kg이다.

 

 직접 살펴본 i5 투어링 경찰차는 국내와는 사뭇 다른 느낌이었다. 순정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별도의 무전기만 설치되어 있던 것. 그만큼 경광등과 확성기, 앞 차의 속도 파악 및 카메라 등 경찰차 업무에 필요한 기능은 전부 순정 모니터에서 터치로 조작이 가능하다. 2열에는 구금을 위한 별도의 칸막이 같은 건 없었다. 인도주의 원칙을 고려해 가림막은 설치하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트렁크는 각 차의 특성에 따라 맞춤 제작한다. 고속도로 전용 경찰차의 경우 위급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중장비가 탑재되고 도심형 순찰차는 투어링의 넓은 트렁크 공간을 적극 활용해 민원 업무를 처리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내에서도 전기 경찰차 도입에 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경찰청 역시 전기 순찰차를 점점 더 많이 도입 중이다. 순찰차로 아이오닉 5 등 전기차를 채택한 사례가 늘고 있으며 전체 친환경 차(전기차 및 수소차) 보유 대수가 수천 대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의무는 아니며 체계적인 관련 법이나 정책은 부족한 수준이다.

 


 

 이에 업계 한 전문가는 "지금으로서는 의무라기보다는 정책적 유도 및 권고, 예산책정 및 친환경 목표와 연계한 시행이 중심"이라며 "법과 제도를 제정비해 전동화 파워트레인을 갖춘 경찰차의 비율을 늘리고 전체 전환을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성환 기자 swkim@autotimes.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