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엔비디아와 손잡고 AI 기반 모빌리티 혁신 나선다

입력 2025년10월31일 15시00분 김성환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AI 기술 센터, AI 애플리케이션 센터 등 
 -국내 피지컬 AI 혁신 생태계 조성, 인재 양성
 -차세대 AI칩 블랙웰 기반 새로운 AI 팩토리 구축

 

 현대자동차그룹과 엔비디아가 31일 경북 경주에서 진행 중인 APEC 현장에서 차세대 AI칩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의 새로운 AI(인공지능) 팩토리 도입을 통해 자율주행차,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분야 혁신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과 엔비디아는 기존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첨단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인프라의 전략적 도입을 넘어 핵심 피지컬 AI 기술의 공동 혁신이라는 새로운 협력 단계로 나아갈 예정이다. 우선 양사는 모빌리티 설루션, 차세대 스마트 팩토리, 온디바이스 반도체 혁신을 위한 AI 역량을 함께 높이고 미래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이와 관련 현대차그룹과 엔비디아는 5만 장의 블랙웰 GPU를 활용해 통합 AI 모델 개발, 검증,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양사는 한국 정부의 국가 피지컬 AI 클러스터 구축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관계자들과 협력, 피지컬 AI 생태계 발전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이는 약 3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수반한다.

 

 핵심 추진 사항으로는 엔비디아 AI 기술 센터, 현대차그룹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 데이터센터 국내 설립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 기술진 간의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고 국내 차세대 피지컬 AI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현대차그룹-엔비디아는 이 날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협력 강화는 AI 기반 모빌리티와 스마트 팩토리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도약”이라며 “양사는 첨단 기술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공동 구축해 혁신을 가속화하고 인재 육성과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까지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는 “AI는 모든 산업의 모든 측면을 혁신할 것”이라며 “운송 분야만 보더라도 차량 설계 및 제조부터 로보틱스, 자율주행에 이르기까지 엔비디아의 AI와 컴퓨팅 플랫폼은 세상이 움직이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의 대표 산업의 중심 기업이자 세계 최고 모빌리티 설루션 기업 중 하나인 현대차그룹과 지능형 자동차와 공장을 구현, 향후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모빌리티 산업을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한국은 제조업에 큰 강점이 있는 나라로 한국의 풍부한 제조 데이터와 엔비디아의 최신 AI 인프라가 만나 국내기업들과 상생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산업 전반의 제조 AX 혁신을 가속화하는 윈-윈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