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봇, 수소 산업 육성..국가 경제 활력 기대
-미래 모빌리티 성장동력 확보 위한 신사업
현대자동차그룹이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국내에 총 125조 2,000억 원의 사상 최대 규모 투자를 단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직전 5년(2021~2025년) 동안 국내에 투자했던 89조1,000억 원을 36조 1,000억 원가량 상회하는 규모다. 125조 2,000억 원을 연평균 투자 금액으로 환산하면 25조 400억 원으로 직전 5년 연평균 투자액 17조 8,000억 원 대비 40% 이상 증가한 액수다.
현대차그룹의 대규모 중장기 국내 투자 결정은 그룹의 근원적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차원이다.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 허브로서 대한민국의 위상 강화, AI/로봇 산업 육성 및 그린 에너지 생태계 발전 등을 통해 국가 경제 활력 제고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투자 금액 125조 2,000억 원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AI, SDV, 전동화, 로보틱스, 수소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50조 5,000억 원, 기존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지속 강화를 위한 R&D투자 및 경상투자에 각각 38조 5,000억 원, 36조 2,000억 원이 투입된다.
무엇보다 이번 중장기 투자는 국내 AI/로봇 산업 육성과 그린 에너지 생태계 발전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 등 국가 경제 기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향후 5년간 AI 기술 고도화를 기반으로 한 로보틱스 등 신사업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지며 국내 AI/로봇 혁신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신차 투입을 위한 각 지역 생산 거점 라인 고도화 및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 서남권 PEM 수전해 플랜트 구축 등으로 지역 균형발전 촉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 안정화를 위해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가 올 한해 부담하는 대미 관세 전액을 지원하는 등 협력사와의 상생협력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모빌리티 생산 중추 거점으로서 한국의 위상도 더욱 공고히 한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완성차 생산 공장의 수출 지역을 다변화하고 국내 전기차 전용공장을 글로벌 마더팩토리 및 수출 기지로 육성해 국내 생산 차량의 해외 수출을 대폭 증대시킬 방침이다.
지난해 218만 대였던 완성차 수출을 2030년 247만 대로 늘리고 그 중 전동화(EV, PHEV, HEV, FCEV) 차량 수출은 지난해 69만 대에서 2030년 176만 대로 2.5배 이상 확장시킬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