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노사분규 '`딜레마'..보도통제

입력 2010년06월13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홍콩=연합뉴스) 정재용 특파원 = 중국 남부의 산업중심지인 광둥(廣東)성에서 시작된 외국 투자기업들의 파업사태가 중국 전역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자 중국 공산당과 정부가 언론에 대한 보도통제에 나서는 등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 광둥성 포산(佛山)시 난하이 소재 혼다자동차 부품공장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외자기업 파업사태가 전국으로 확산할 움직임을 보이자 중국 공산당 선전부는 사회불안을 우려해 5월 28일을 기해 중국 언론에 대해 보도통제 지침을 시달했다.

중국 주요 신문의 편집자들과 기자들은 SCMP에 "공산당의 지시에 따라 노사분규와 관련해 관영 신화통신의 보도 내용을 전달하는 것 이외에 독자적인 보도를 할 수 없다"고 전했다. 중국의 언론 분석가들은 공산당이 노사분규에 대한 보도통제에 나선 이유에 대해 언론보도가 촉매제가 돼 노사분규가 전국으로 확산하거나 대규모 소요사태로 번질 가능성을 염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공산당과 정부는 혼다자동차 부품공장에서 파업이 발생했을 때만 해도 `근로자들의 임금인상 요구에 타당한 측면이 있다"는 시각을 보이면서 언론보도에 별다른 제재를 가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남방도시보(南方都市報), 신쾌보(新快報) 등 중국의 유력 신문들은 5월 28일 보도지침이 시달되기 전까지는 혼다자동차 부품공장의 파업사태를 주요 기사로 비중있게 보도한 바 있다.

중국 언론당국은 주요 신문뿐만 아니라 인터넷 매체에 대해서도 파업관련 뉴스를 취급하지 말도록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보도통제에 대해 중국의 언론 전문가들은 사회안정을 감안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근로자들의 파업사태를 막는 데는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광둥성 성도인 광저우(廣州)를 무대로 활동하는 저명한 언론인인 창핑(長平)씨는 "중국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자각하고 행동으로 투쟁하기 때문에 언론통제로 이를 막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청년보(中國靑年報)가 발행하던 주간지인 `빙점"(氷點)의 편집장 출신인 리다퉁(李大同)씨도 중국 공산당과 정부가 사회불안을 우려해 노동자들의 권리를 무시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중국 공산당과 정부의 언론 통제에도 지난달 31일 이후 현재까지 광둥성 5곳, 상하이(上海) 1곳, 장쑤(江蘇)성 1곳, 시안(西安)성 1곳, 장시(江西)성 1곳 등 모두 9개의 공장에서 파업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jjy@yna.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