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 자동차 정비요금 인상에도 곧바로 운전자들의 자동차보험료 부담이 커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금융감독원 고위관계자는 21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보험료 인상에 앞서 자구노력부터 철저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손보사들이 사업비 절감 등 자구노력을 통해 보험료 인상 요인을 일정부분 흡수할 수 있다"며 "자동차보험 정비요금이 인상됐다고 해서 보험사가 곧바로 운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18일 자동차보험 적정 정비요금을 2만1,553~2만4,252원으로 종전보다 18% 인상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보험료는 평균 3.4%가량 인상 요인이 생긴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당국이 정비요금 인상분을 곧바로 보험료에 반영하는 데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함에 따라 보험료 인상 시점은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금감원은 정비요금 인상에 따라 향후 자동차보험료 조정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비요금 인상은 직접적인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며 "다만 손보사들이 자구노력을 먼저 한 다음에 인상 시기와 폭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kom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