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중형 배기량, 아반떼 1.6ℓ에 라세티 1.8ℓ로 맞서

입력 2010년10월06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국산 준중형차의 배기량 경쟁구도가 "1,600cc vs 1,800cc"로 급속히 재편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800cc급 배기량은 1,600cc급보다 세금부담이 큼에도 소비자들이 고배기량 선호현상을 보여 "준중형=1,600cc"라는 고정관념도 바뀔 조짐이 일고 있다.

포르테 GDI 엔진


준중형의 배기량을 1,800cc급으로 이끈 차종은 GM대우자동차 라세티 프리미어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라세티 프리미어는 지난 8월까지 판매된 2만2,894대 중 배기량 1,800cc급이 67%나 된다.



GM대우 관계자는 "당초 1,600cc급을 주력으로 예상했으나 세금부담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142마력짜리 1,800cc를 선택, 고배기량 선호 현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최근 준중형차의 크기가 과거 중형에 해당될 만큼 커졌다는 점에서 소비자도 배기량이 큰 차종을 선택하는 것 같다"며 "또 1,600cc급과 1,800cc급의 가격차이가 30만 원밖에 안돼 부담이 적은 것도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즉 30마력이나 출력이 커지고 편의품목까지 추가된다면 세금부담쯤은 문제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라세티프리미어 1.8 엔진
반면 현대·기아자동차와 르노삼성자동차 등은 여전히 1,600cc급을 주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르노삼성차는 최근 141마력 2,000cc급 뉴 SM3를 내놨으나 여전히 1,600cc급이 주력이다. 또 현대·기아차는 준중형급에선 고배기량을 아예 내놓지 않고 있다. 140마력의 1,600cc급 직분사 엔진이면 라세티 프리미어의 1,800cc급 성능에 충분히 견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한편, 소비자들의 고배기량 선호 현상은 중형급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현대 쏘나타는 지난해 8월까지 배기량 2,400cc급의 판매가 전체 쏘나타 판매에서 0.2%인 177대에 머물렀다. 그러나 올해 같은 기간엔 2,461대로, 비중이 2.8%로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형급 이하에선 고배기량 선호 현상이 조금씩 나타나고, 준대형부터는 오히려 저배기량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며 "중형까지는 크기보다 성능이, 준대형부터는 성능보다 크기가 주목받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