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차 5사의 승용차급별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현대차의 독주 속에 르노삼성의 약진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
중형 1위 쏘나타 |
7일 국내 완성차 5사가 지난 10월까지 공장 밖으로 내보낸 차종별 출고실적을 분석한 결과 먼저 경차는 기아차 모닝과 GM대우 마티즈 크리에이티브가 각각 64.7%(8만4,126대)와 35.3%(4만5,946대)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모닝의 점유율이 76.9%였음을 감안하면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의 역공이 거셌던 셈이다.
소형차는 지난 10월까지 국내에서 2만1,900대가 출고됐다. 메이커로는 현대차와 기아차, GM대우차가 경쟁을 벌였는데 점유율 1위는 기아차로 나타났다. 기아차는 프라이드 한 차종으로 올해 1만1,520대(점유율 52.5%)를 출고했다. 그 뒤를 이어 현대차가 클릭과 베르나 등으로 9,066대를 판매, 41.4%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GM대우차는 젠트라로 점유율 6.1%를 기록했다.
|
준중형 2위 뉴 SM3 |
준중형급은 현대차, 기아차, 르노삼성차, GM대우차 등이 경쟁을 벌이는 시장이다. 이 가운데 10월까지 점유율 1위는 두말할 것 없이 현대차다. 현대차는 아반떼와 i30, 아반떼 하이브리드 등을 앞세워 점유율이 50.4%나 됐다. 판매대수로는 11만3,000대. 그러나 점유율 2위는 기아차가 아닌 르노삼성차로 집계됐다. 르노삼성은 SM3와 뉴 SM3를 4만9,000대쯤 내보내 21.8%로 2위를 지켰다. 포르테 하이브리드와 포르테쿱, 포르테 세단과 쎄라토로 맞선 기아차는 점유율이 15.9%에 그쳤고, GM대우는 라세티 한 차종으로 11.9%를 차지했다. 업계에선 이를 두고 판매 차종 다양화가 곧 점유율 확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시각을 보내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경쟁이 활발한 중형차는 현대차가 NF와 YF 쏘나타로 점유율 48.2%(12만6,574대)를 나타낸 데 이어 르노삼성은 SM5와 뉴 SM5로 6만6,025대를 내보내 점유율 25.1%를 차지했다. 현대에 이어 확고한 2위 자리를 지켜낸 셈이다. K5와 로체 등을 내보낸 기아차는 6만5,715대로 점유율 25%를 차지, 르노삼성의 2위 지위를 위협하고 있으며, GM대우는 점유율 1.7%를 나타냈다.
준대형과 대형 시장은 차종이 많은 현대차가 역시 점유율도 앞서고 있다. 현대차는 그랜저와 제네시스, 에쿠스 등을 내세워 대형 시장에서 48.8%(영업용 제외)를 점유했다. 판매대수로는 5만9,764대나 된다. 뒤를 이어 K7과 오피러스의 기아차가 4만2,942대로 35%를 차지, 현대기아차의 대형 시장 점유율은 무려 84%로 집계됐다. 뒤를 이어 르노삼성이 SM7으로 9%, 쌍용차가 체어맨으로 5.2%, GM대우가 알페온 등으로 점유율 2%를 보였다.
|
경차 2위 마티즈 |
한편, 올 들어 10월까지 SUV를 제외한 업체별 승용차 점유율은 현대차가 40.8%로 가장 많았고, 기아차가 31.4%, 르노삼성 16.5%, GM대우 10.6%, 쌍용차 0.8%로 기록됐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