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자동차 부품회사 보쉬의 프란츠 페렌바흐 회장이 전기차 시장과 관련한 입장을 표명했다.
|
보쉬 프란츠 페렌바흐 회장 |
프란츠 회장은 10일 SB리모티브의 울산 공장 준공을 기념하는 자리에서 "전기차는 제한적 범위, 인프라 등으로 틈새시장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또 "점진적인 전기자동차 보급 기반을 다지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며, 2020년 이후 전기차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페렌바흐 회장은 전기차에 부정적인 전망도 함께 내놨다. 그는 "제한적 주행 범위와 충전 인프라 때문에 전기차는 하루 평균 20km 미만을 운행하는 서울 같은 메가시티에서 매력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따라서 이런 틈새시장부터 전기차의 보급을 시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지난 2007년 거주자 500만명 이상의 메가시티가 49개였지만 2025년에는 75개까지 늘어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환경에 대한 우려가 더욱 증가하는 가운데 각국 정부의 도시환경개선을 위해 유해 배기가스 감소 정책에 전기차가 지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세계적으로 교통 밀도가 높은 국가 중 하나인 한국 정부는 이미 하이브리드나 전기차의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친환경 차의 잠재력에 한국 정부가 확신을 가지고 정책을 추진 중"이라며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차는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그는 2009년 세계 경제 위기 당시 리튬 이온 기술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했던 일을 두고 "미래 가능성이 큰 기술이었기 때문이었다"며 "이를 위해 삼성SDI와 맺은 파트너쉽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지속적인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는 폭넓고 장기적인 전략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2013년까지 보쉬와 삼성SDI가 SB리모티브에 5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울산=박진우 기자
kuhiro@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