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개발원 "큰차 안전하다' 믿지 말아야"

입력 2010년12월01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 대형차가 안전하다는 사람들의 인식과 달리 대형차 사고의 치사율이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자동차보험금이 지급된 자손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전체 자동차 중 사고가 난 차의 비율은 차 배기량이 클수록 낮았다. 경차(배기량 1,000cc 미만)의 사고율은 0.86%인 반면 소형(1,000~1,600cc) 차는 0.71%, 중형(1,700~2,000cc)은 0.66%, 대형(2,000cc 초과)은 0.57%였다. 하지만 사고건수 대비 사망자의 비율은 오히려 대형이 더 높았다. 경차의 치사율은 1.12%, 소형은 0.91%, 중형은 0.85%인 반면 대형은 1.13%로 가장 높았다. 2008년 4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일어난 사고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경차가 1.25%인 반면 대형은 1.31%에 달했다.

개발원은 대형차 사고의 치사율이 가장 높은 것은 대형차의 특성과 운전자 안전의식 부재가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대형차나 외제차의 경우 엔진의 출력이 좋아 과속하기 쉬운 데다 차의 크기나 안전성 등을 믿고 고속도로 등에서 앞차를 추월하다 사고를 내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개발원 관계자는 "운전자의 생명을 지켜주는 것은 차의 크기나 첨단 안전장치라기보다 안전운전을 항상 염두에 두는 운전자의 마음가짐일 것"이라고 말했다.

ssahn@yna.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