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2007년 발표한 제1차 바이오디젤 중장기 보급계획에 이어 2011년 이후의 바이오디젤 보급방향을 정한 제2차 바이오디젤 중장기 보급계획을 29일 발표했다.
고유가시대가 지속되면서 에너지원 다양화, 석유위기 대응, 환경개선 등을 위해 경유에 섞여 보급된 바이오디젤은 유엔 정부 간 기후변화위원회(IPCC)가 인정하는 탄소중립원으로 대기환경 개선, 온실가스 감축, 제품과 기술 수출 등의 성과를 거두며 친환경 대체에너지 입지를 다지고 있다. 그러나 원료의 높은 수입 의존도, 식량가격 상승 유발 등의 문제가 제기돼 보급에 부정적인 시각도 있었다. 따라서 정부는 문제점으로 지적된 원가 및 원료 수급여건 개선을 위해 단기적으로 동물성 바이오디젤 상용화, 해외농장 개척 활성화를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차세대 바이오연료 개발을 위한 R&D 투자를 활성화해 바이오디젤산업을 미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정부는 내년부터 동물성 바이오디젤을 상용화해 폐식용유와 마찬가지로 버려지던 자원인 동물성 유지를 재활용, 바이오디젤 보급에 따른 폐자원 재활용과 에너지 자립도 제고 효과를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2011년을 끝으로 마감되는 바이오디젤 유류세 면제 제도를 감안해 2012년부터는 바이오디젤의 의무혼합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 다만, 바이오디젤의 가격이나 원료 수급상황 등을 고려해 당분간 현재의 혼합율 2.0%를 유지하기로 했으며, 앞으로 혼합율 상향 조정은 가격경쟁력이나 원료 수급 여건 개선을 감안해 결정할 계획이다.
박진우 기자
kuhiro@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