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동차 업계가 연료효율이 높고 환경친화적인 자동차를 많이 만들면서 고유가 시대를 맞아 소비자들에게 바짝 다가서고 있다고 미국의 일간지 뉴욕타임스가 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포드자동차는 10년 전만 해도 익스피디션이나 네비게이터 같은 대형 SUV를 만들었는데, 1갤런으로 12마일밖에 못 가는 이들 차도 그 무렵은 잘 팔렸다. 하지만 이제 GM은 5억5,000만 달러를 들여 140에이커나 되는 공장을 친환경과 연료효율화를 강조한 체제로 바꿔 소형차를 생산하고 있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이처럼 대형차를 포기하고 연비가 높은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정부에서 연비 기준을 엄격하게 만들어야 했고 2008년 배럴당 145달러까지 치솟은 국제 원유가격에다 뒤이어 찾아온 글로벌 금융위기로 GM과 크라이슬러가 정부로부터 구제금융을 받게 되자 근본적인 변신이 불가피했다.
미국 시장에서는 현재 일본 메이커들이 연료효율에서 우세하다. 토요타 프리우스만 해도 지난해 대규모 리콜사태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가운데 가장 많은 판매실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요즘 이런 격차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포드와 GM이 만든 승용차의 평균연비는 1갤런에 30마일이 넘어 10년 전의 27마일에 견줘 크게 개선됐다. GM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시보레 볼트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다음주 열리는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는 뷰익 브랜드로 새 컴팩트 세단도 선보인다.
현재 미국 소비자들의 대형 자동차 애착도 거의 사라졌지만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아직 소형 트럭이나 SUV에 많이 의존해 있다. 하지만 무게가 4t이나 되는 거대자동차들은 이제 점차 엔진크기를 줄인 덩치 작은 크로스오버 자동차들에게 밀려나고 있다. 특히 국제원유가가 배럴당 90달러를 넘고 휘발유 소비자 가격도 1갤런에 3달러를 넘어서면서 이런 변신은 더욱 빨라지고 있다.
트위터로 만나는 오토타임즈 : http://twitter.com/Autotimes_kr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