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여곡절도 많았지만 F1 코리아 그랑프리는 최고의 대회로 꼽혔다 |
전남도와 정영조 KAVO 전 대표의 결별로 잡음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F1 경기의 원활한 진행에도 먹구름이 드리울 전망이다.
지난해 열린 F1 코리아 그랑프리는 시작 전부터 삐걱거렸다. 공사장 건설이 대회 직전까지도 완료되지 못했던 것. 장마가 유난히 길었던 날씨가 원인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경기는 치뤘지만, 마르지 않은 아스콘 때문에 트랙의 완성도에서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결정적으로 공사기간이 늘어나 공사비도 함께 증가했다. 이는 적자의 빌미가 됐다.
여기에 대회 운영과 진행에서도 많은 미숙함을 드러냈다. 전남도와 KAVO 사이 소통 문제로 지정된 티켓 외에 "자유이용권"이라는 명목으로 티켓이 발행됐고, 숙련되지 않은 진행 요원들은 관람객과 충돌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 때문에 경기 직후 "책임론"이 전남도와 정영조 대표를 중심으로 불거졌다.
칼을 먼저 꺼내든 쪽은 전남도다. 국내 F1 경기를 진두지휘한 정영조 대표를 자리에서 끌어내린 것. 전남도 소속인 KAVO는 지난 14일 오전 서울 마포 사무실에서 재적 이사 6명 중 정 대표를 포함한 MBH(공동대표 정영조, 장홍호) 소속 2명을 제외하고 이사회를 열었다.
이어 정대표 등 핵심 임원진의 해임 요구안을 통과시켰다. 오후에는 임시주총을 열어 해임안을 최종 의결하며 경주장 건설 지연과 마케팅부실 등 각종 책임을 물었다. 이는 두 번째 F1을 치르는 올해 대회를 조직위원회 중심으로 치르기 위한 전남도의 의도가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
경기 직전까지도 완공이 늦어졌다 |
정영조 전 대표 쪽은 즉시 반발했다. KAVO의 주주사인 MBH는 지난 18일 "전남도 등 운영법인 이사회 참석 기관들은 더이상 F1 그랑프리의 가치를 훼손하지 말라"고 밝혔다. 더불어 MBH를 제외하면서 결정한 정영조 대표이사 해임안은 무효임을 주장하며 법적 대응을 선언했다.
이를 위해 KAVO 주주총회의 효력을 정지시키는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출키로 했다. MBH는 지난 2006년 F1 유치권을 확보한 뒤 KABO 설립 주주로 참여한 프로모터이며 KAVO 대표이사 선임권을 가지고 있다.
MBH는 "기상 문제로 건설이 늦어지는 등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첫 F1 대회를 무사히 치뤘다"며, "그럼에도 몇몇 주주사들이 부정적인 측면만 과장해 실패로 규정하고, 정영조 대표를 포함한 KAVO 경영진에게 책임을 떠넘겼다"고 전했다. 이어 "임기가 남은 대표이사를 강압적으로 교체할 만큼 실패한 대회였다면 경기장을 완공시키지 못한 SK건설과 공짜표에 가까운 자유이용권을 발행한 F1 조직위원회(전남도)에도 연대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MBH는 주주총회의 절차에도 문제가 있음을 주장했다. 대표이사의 해임건을 최종 결정하는 주주총회를 열기 위해서는 전체 주주에게 공지한 뒤 2주 이상이 지나야 한다. 그러나 주요 주주인 MBH의 동의가 없었던 점을 꼬집었다. 또한 단지 세 시간 만에 날치기로 주주총회가 강행됐다며 절차에 오류가 있었음을 지적했다. 이 과정에서 감사원 조사가 끝난 뒤 이사회를 개최하자는 정영조 전 대표의 주장도 묵살된 것으로 파악됐다.
|
최근 KAVO 대표에서 해임된 정영조 대표 |
양쪽의 대립이 이전투구와 법적 분쟁으로 발전될 조짐에 따라 앞으로 F1이 정상적으로 치러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 전 대표가 F1대회에는 앞으로 한국자동차경주협회(KARA)의 대표 자격으로만 참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F1 개최권 확보와 대회 개최 과정에서 협상 파트너였던 FOM 버니 애클레스턴 등 국제 모터스포츠 거물과 맺은 관계도 조정이 불가피하다.
정영조 전 대표 대신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된 박원화 전 스위스대사의 능력도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최근 F1 조직위원회 국제 협력관에 임명됐지만 F1의 특성에 견줘 박 신임 대표가 FOM이나 FIA과 협상을 원할하게 수행치 못할 가능성도 크다는 지적도 나왔다. 전남도 관계자는 "F1 코리아 그랑프리의 프로모터 역할을 KAVO가 계속해서 수행할 것"이라며 "대외적인 업무는 신임대표가 잘 해낼 것"이라고 밝혔다.
정영조 전 대표는 "MBH가 KAVO에 납인한 100억 원이 넘는 출자금과 개최권을 KAVO에 양도하면서 정산하지 못한 돈이 230억 원이나 된다"며 "이런 문제도 상의 않고 대표를 해임하는 것은 받아드릴 수 없으며 법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트위터로 만나는 오토타임즈 : http://twitter.com/Autotimes_kr
박진우 기자
kuhiro@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