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터워진 '금녀벽'..현대·기아차 여성比 줄었다

입력 2011년04월16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서울=연합뉴스) 권혁창 기자 = "금녀의 벽"이 높은 자동차 업계에서 여성 채용을 놓고 국내 메이커와 외국계 기업이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현대·기아차와 최근 인도 마힌드라에 인수된 쌍용차는 여성 직원 비율이 10년 전보다 오히려 줄어든 반면, 외국계인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사업보고서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의 전체 직원수는 2000년 4만 9,023명에서 10년이 지난 작년 5만 6,099명으로 7,076명(14.4%) 늘어났지만, 여성 직원수는 2,232명에서 2,320명으로 불과 88명(3.9%)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체 직원 중 여성 비율은 2000년 4.5%에서 2010년 4.1%로 0.4%포인트 감소한 셈이다.

기아차는 2000년 전체 직원 6,천953명 가운데 여성이 733명으로 10.5%나 됐으나, 2010년에는 3만 2599명 중 830명으로 여성 비율이 2.5%로 크게 떨어졌다.

상하이차를 거쳐 최근 인도 마힌드라가 주인이 됐지만, 오랫동안 순수 국내 메이커였던 쌍용차는 2000년 전체 직원 5,590명 중 여성이 143명으로 2.6%였으나, 10년이 지난 2010년에는 4,698명 중 89명으로 여성비는 1.9%로 하락했다.

그러나 미국 GM이 인수해 2002년 GM대우로 출범한 한국지엠은 출범 당시 전체 직원 8,200여 명 중 여성이 287명으로 3%의 비율로 출발했지만, 현재는 1만 7,100여명 중 920명으로 여성비가 5.4%로 상승했다. 한국지엠은 특히 사무직의 경우 여성 비율이 2002년 7%에서 2011년 14%로 9년 만에 두 배가 됐다.

프랑스 르노그룹이 지분 81.1%를 보유한 르노삼성 역시 2000년 말 출범 당시 전체 직원 2,364명 중 여성이 45명으로 비율은 1.9%에 불과했다. 그러던 것이 10년 만인 작년 말에는 전체 7,058명 중 596명으로 여성비는 7.8%로 수직 상승했다.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의 여성 비율 급등은 이들 회사가 외국계라는 점과 무관치 않다. 한국지엠은 오래 전부터 글로벌 기업에 걸맞은 평등한 조직문화와 여성직원들의 복리후생에 관심을 둔 결과 여성 직원이 자연스럽게 증가했으며, 르노삼성도 매년 직원 채용에서 여성비를 중시하고 있다. 한국지엠은 2005년부터 여성위원회를 만들어 여성 직원들의 복지와 사기 진작을 도모해왔으며, 르노삼성에는 여성인력 양성을 위한 태스크포스(TF)가 구성돼 적극적인 활동을 벌이고 있다.
현대기아차도 최근 수년간 여성 직원을 많이 뽑고 있지만, 수치상으로는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신입사원 채용 시 여직원 채용 비율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면서 "머지않아 여성근무 인력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faith@yna.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