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정유사가 3개월 한시적으로 내렸던 ℓ당 100원의 공급가격이 7월부터 다시 오를 전망이어서 사실상 기름값 폭탄 인상이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25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정유사 공급가격 정상 환원시점은 오는 7월6일이다. 이에 따라 그 동안 ℓ당 1,950원 수준에 머물렀던 기름값이 7월부터 ℓ당 2,000원 이상으로 뛸 것으로 보인다.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국내 판매 기름값은 지난 3월말 ℓ당 평균 1,967원이었지만 정유사의 공급가격 인하가 시행된 후 5월 현재는 평균 1,890원이다. 그러나 정유사가 ℓ당 100원의 공급가격을 다시 올릴 경우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인상폭은 상당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이에 따라 일부에선 국민들이 느끼는 기름값 인상폭 최소화를 위해 정부가 정유업계에 공급가격 인하기간 연장을 요청할 것이라는 추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그러나 정유업계는 더 이상 손해를 볼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 추가 인하 의지가 없음을 드러내고 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3개월 인하만으로 입은 손해액도 상당하다"며 "인하기간 연장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정유업계의 의지가 이 처럼 단호하자 관심은 정부의 세율 조정에 모아지고 있다. 정유사가 ℓ당 100원의 공급가격을 올릴 경우 체감 인상폭이 너무 크고, 이 경우 국민들의 부담이 증가될 수 있어 정부가 세율 조정으로 인상폭을 낮출 수 있다고 보는 것. 실제 정유업계 내에선 정부가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카드인 세율 조정이 돼야 국민이 인상폭탄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정유업계 스스로 3개월 한시적 공급가격 인하로 물가안정에 기여한 만큼 정부도 의미있는 행동을 취할 때가 됐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정부로서도 아직 뚜렷한 대책은 찾지 못한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일단 지켜보고 있다"며 "무엇이든 결정하려면 일단 면밀하게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게 우선"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25일 현재 전국 보통휘발유 가격은 ℓ당 1,890원, 경유는 ℓ당 1,712원이다.
트위터로 만나는 오토타임즈 : http://twitter.com/Autotimes_kr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