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안 주유소' 도입ㆍ마트주유소 확대

입력 2011년07월26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윤종석 기자 = 정부가 기존 주유소에 비해 석유제품을 싸게 파는 사회적 기업형 "대안 주유소" 육성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현재 특별시와 광역시에만 한정된 대형마트 주유소를 인구 50만명 이상 도시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는 26일 기름값을 낮추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주요 정유사들의 압도적 영향력 아래 놓여있는 주유소 체제를 깨뜨리고자 이런 방향을 잡았다고 밝히고 이날 업계 관계자와 전문가들을 불러 간담회를 열었다고 전했다. 지경부가 주도한 논의 내용에 따르면 대안 주유소의 운영주체는 공익단체, 공공기관뿐 아니라 사회 공헌 차원의 대기업, 공동출자한 소상공인 등 누구나 가능하다.

공공주차장 등 국·공유지, 대단지 아파트 조성을 위한 공영개발택지 등을 활용해 초기 투자비를 낮추고 석유공사와 같은 대형 공기업이 싱가포르 등 국제시장에서 석유제품을 대거 사들여 프랜차이즈 형식으로 공급한다. 사은품, 세차 등 불필요한 서비스의 제거로 원가를 줄이고 셀프주유 개념을 도입하되 인력이 필요하면 노인, 주부 등 유휴인력을 고용함으로써 일자리도 창출한다.

지경부는 대안 주유소 참여업체에 최소한 수익을 보장하기 위해 보조금 지급 등 지원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특히 대안 주유소에 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이른 시일내에 마련, 올해에는 시범적으로 최소 한 곳을 지정해 운영하고 장기적으로 전체 주유소의 10% 수준으로까지 늘어나게끔 지원할 방침이다. 그러나 대안 주유소 활성화를 위해서는 석유제품의 안정적인 공급선 확보, 수송 등 유통과 같은 인프라가 있어야 하지만 석유공사와 같은 공기업이 이를 감당하기가 쉽지않다는 지적이어서 정부 계획의 실효성이 주목된다.

지경부는 이와 함께 현재 특별·광역시에만 허용된 대형마트 주유소를 향후 인구 50만 이상 도시로도 확대하는 등 대형마트 주유소의 영역을 넓히기로 했다. 주유소 업계는 마트 주유소가 인구 50만명 이상 도시로 확대되면 마트 주유소가 10개소 이상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전국의 대형마트 주유소는 이마트가 5곳, 롯데마트가 2곳, 농협이 운영하는 하나로마트 내 주유소 3곳 등 10곳이 있다. 업계로선 새롭게 개념이 제시된 대안 주유소보다 대형마트 확대를 더욱 위협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대형마트 주유소는 마트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일종의 "미끼상품"으로 원가 이하 가격에 기름을 팔아 주위 주유소 업계를 황폐화시키고 있다"며 "마트 주유소가 확대하는 것을 막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지경부는 또 석유제품 혼합판매 활성화, 석유수입을 위한 환경기준 완화, 자가폴 주유소의 공공수요 확보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uni@yna.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