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개막 1개월을 앞둔 F1 코리아 그랑프리의 교통대책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엄청난 교통체증과 주차난을 겪었던 탓에 우회대로와 버스 전용차로ㆍ가변차로 등 새로운 대책이 세워졌지만 결승전 하루에만 2만여대의 차량이 몰릴 것으로 예상돼 이에 어떻게 대처할지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15일 F1대회조직위원회에 따르면 F1 코리아 그랑프리 예선전이 열리는 10월 14일(금)과 15일(토)에는 차량과 관람객이 각각 7천400대ㆍ3만명, 1만6천700대ㆍ7만명으로 예상됐다. 가장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결승전 16일(일)에는 차량 2만3천800대ㆍ10만명이 운집할 것으로 조직위는 내다봤다. 이에 따라 서해안고속도로에서 목포시내를 경유하지 않고 F1경주장으로 바로 들어올 수 있는 국도 2호선 대체우회도로와 국가지원지방도 49호선을 임시개통하고 가변차로와 버스전용차로, 셔틀여객선 운행 등 새로운 교통대책을 마련해 대회 기간 운영한다.
지난해와 같은 "교통대란"이 재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마련된 이같은 대책은 그러나 차량 운전자나 관람객들을 상대로 사전에 적극적인 정보제공을 하지 않을 경우 현장에서 마찰을 불러 더 큰 체증과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도2호선 대체우회도로의 경우 아직도 임시개통 여부를 모르는 운전자들이 대부분이어서 기존도로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고, 광주방면에서 내려오는 국도1호선 이용자들도 우회도로보다는 기존도로를 이용할 가능성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가변차로도 영산강 하구둑 도로를 중심으로 3.7㎞구간에서 경주가 끝난 뒤 퇴장시에만 운영하기로 해 "반쪽짜리" 가변차로인 셈이다. 이 구간은 영산강살리기 사업으로 인한 방조제 구조개선 공사가 한창이어서 심각한 교통체증이 우려되는 곳이기도 하다.
경주장 주변에서 관람객들의 이동을 도와 줄 내부 순환버스도 경주가 끝난 뒤 관람객 퇴장시에는 운행하지 않기로 해 혼란과 불편을 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차장 운영방식에 대한 불만은 이미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작년 대회 당시에도 주차권을 유료로 판매하려고 했다가 뒤늦게 티켓 구입자들에 한해 무료로 돌려 큰 혼란을 줬는데 올해도 이런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조직위는 사전에 무료로 발급한 주차권을 부착하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는 경주장 외곽에서 진입을 통제할 방침이지만 현장에서 이같은 방침에 쉽게 따를 차량들이 얼마나 있을지 미지수다. 또 100만원에 가까운 고액권 티켓 구입자들까지 선착순으로 주차권을 받게 한데 대해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그나마 버스전용차로가 도청입구 사거리에서 경주장 P7주차장 사이 11㎞구간에서 운영돼 셔틀버스나 대형버스를 이용하는 관람객들은 비교적 수월하게 경주장을 오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직위는 주차장 진입 차량을 통제하지 않으면 주변 교통까지 악영향을 줄 수 있고 내부 순환버스도 퇴장시에는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므로 물리적으로 운행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조직위 관계자는 "경주장 진출입 구간이 작년과 달리 여러 곳으로 분산돼 있어 지난해와 같은 교통체증은 없을 것으로 본다"며 "준비한 교통대책들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남은기간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bett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