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량 1,400cc 소형차, 정부 지원 있어야

입력 2011년09월19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지난 10년 동안 국내에서 판매된 승용차 가운데 배기량 1,600cc 미만의 소형차 비중이 26% 포인트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00cc 이상 대형차는 지난 2001년 11.6%의 비중에서 지난해는 24.4%까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국토해양부 승용차 크기별 등록대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01년 차급별 비중은 배기량 800cc 경차 8.0%, 소형차 37.4%, 중형차 42.9%, 대형차는 11.6%를 나타내 중소형차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소형차 비중은 2002년부터 매년 큰 폭으로 감소해 2005년에는 23.7%까지 줄었고, 2007년에는 18.5%까지 내려갔다. 이후 지난해는 11.2%로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반면 중형차 비중은 10년 전 42.9%에서 지난해 55.7%의 비중으로 올라섰고, 대형차도 11.6%에서 24.4%로 늘어 전반적인 중대형차 선호 현상이 매년 계속됐던 것으로 해석됐다.



이처럼 중대형차 비중이 늘어난 것은 그간 중대형 신차가 많았던 이유도 있지만 무엇보다 소형차 외면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특히 배기량 1,400cc 미만의 소형차가 세제 혜택을 받는 경차와 배기량 1,600cc 미만 차종의 성능에 밀려 입지 구축에 실패하자 소형차 비중은 곤두박질쳤다.



실제 기아차 프라이드의 경우 지난 7월까지 판매량은 7,01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7,995대에 비해 12.3% 감소했다. 쉐보레 아베오의 경우 7월까지 1,901대로 지난해 대비 97% 증가했지만 판매량 자체만 놓고 보면 만족스럽지 못한 숫자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그나마 올해는 아베오가 신차여서 늘었을 뿐 전반적인 소형차 위축은 불가항력이라는 얘기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배기량 1,400cc 미만 소형차에는 특단의 혜택이 주어져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특히 일부에선 중형차와의 형평성 문제까지 지적하고 나섰다. 지난 2009년 정부가 노후차를 새 차로 바꿀 때 보조금을 지원했지만 대부분 해당 차종이 배기량 2,000cc 미만의 중형차에 맞춰져 있었다는 것. 물론 당시 소형차도 구입 때 등록 및 취득세가 최대 70% 감면됐지만 감면액은 중형차 대비 적어 결과적으로 중형차 수요를 늘린 만큼 이제는 소형차에 대한 별도 지원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자동차동호회연합 이동진 대표는 "프랑스가 탄소세를 도입한 배경은 소형차 선호 현상을 더 부추기려는 의도였다"며 "한국도 조만간 교토의정서에 따라 탄소의무감축국에 포함되는 만큼 이제라도 소형차 세제 지원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현재 경차의 취등록세가 100% 감면되는 만큼 배기량 1,400cc 미만은 감면액을 50%로 하자는 것. 이 경우 현재 소형차 판매량을 감안할 때 지원규모는 연간 400억원 정도로 추산돼 정부 재정에 큰 압박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이동진 대표는 "경차와 더불어 배기량 1,400cc 미만 소형차의 부활은 탄소 배출이라는 차원에서도 적극 검토될 만하다"며 "지금의 정치권이 논의를 해볼 만한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권용주 기자 soo4194@autotime.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