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연합뉴스) 인교준 특파원 = 중국 자동차 시장이 2015년이 되면 600만대에 가까운 공급 과잉으로 경쟁 과열과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베이징현대자동차의 노재만 사장은 29일 베이징(北京) 외신기자클럽 강연을 통해 이 같은 견해를 내놨다. 노 사장은 "현재 추세대로라면 2015년 중국내 자동차 공급대수는 2천551만대로 예상되는 반면 같은 해 중국의 국가통계국이 전망한 수요는 1천960만대 수준"이라며 591만대의 공급 과잉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그러면서 중국시장의 자동차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수요증가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전년대비 올해 자동차 수요증가율은 13.6%(1천270만대), 2012년 12.6%(1천430만대), 2013년 12.8%(1천612만대), 2014년 11.2%(1천793만대), 2015년 9.3%(1천960만대)로 점차 하락해 2020년에는 6.6%(2천844만대)가 될 것이라는 게 중국 당국의 분석이다. 노 사장은 중국 자동차 시장의 수요와 관련, "동부 해안보다는 서부지역의 수요 비중이 점차 커질 것으로 보이지만 도시와 농촌 간 소득격차로 인해 서부로의 수요 확대가 더딘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중국의 자동차 구매가 점차적으로 그 자체의 품질보다는 브랜드 파워, 소비자 만족도, 서비스 지수 등의 감정적인 요인에 의해 좌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 "중국 정부가 친환경 자동차 산업정책에 역점을 두고 있는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제12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12·5규획, 2011∼2015년) 기간에 대규모 인수합병(M&A) 정책을 펼 것으로 보여 그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 사장은 이어 "제조업 분야에서 중국의 연평균 임금이 2002년 1만1천1위안(201만4천700원)에서 2009년에 2만6천810위안으로 2.7배 가량 오를 정도로 임금 상승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런 이유 등으로 중국내 25개 자동차 제조업체의 이익률도 크게 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기름값 인상, 자동차 규제정책, 에너지 소비세 인상 등의 정책도 향후 중국 자동차 시장의 향배를 가를 변수들"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휘발유와 경유 등에 대한 세금을 지속적으로 인상해왔으며 그로인해 유류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또 교통난 해결 차원에서 대도시에서의 자동차 등록허가제를 확대하면서 자동차 수요증가율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노 사장은 "이런 상황에서 생존의 길은 우선 소비자가치를 극대화하고 정부정책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친환경 기업으로서 사회공헌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