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GM 등 미국의 주요 완성차 업체와 부품사들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한국산 자동차 부품의 구매를 적극적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조사됐다.
코트라는 6일 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완성차 제조업체와 델파이, 아이신 등 5개 대형 자동차 부품 바이어를 상대로 한 인터뷰 내용 등을 엮은 "한미 FTA 발효 이후, 미국 주요 자동차부품 바이어 수입계획"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최대 완성차 제조업체인 GM은 한미 FTA 발효 이후 한국산 부품 구매규모를 현재 7억달러에서 10억달러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연간 20억달러씩 원가절감을 위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구매율을 현재 16%에서 2016년까지 30%로 올릴 방침인데 한미 FTA를 목표 달성의 지렛대로 삼으려는 계산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효과적인 한국산 부품 조달을 위해 본사 글로벌 구매팀 직원 약 3%를 국내 GM 코리아에 파견하는 안을 현재 검토 중에 있다.
포드도 그동안 한국산 자동차 부품 도입에 폐쇄적이었던 정책을 바꿔 한국산 부품 구매를 늘릴 예정이다. 포드사 소싱 담당자는 한국산 부품의 북미 수입액이 향후 10년간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크라이슬러는 친환경 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한국산 부품 구매를 확대할 예정인데, 국내 납품업체 수를 현재 70개에서 2013년까지 100개 이상으로 늘려나갈 계획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도요타 북미 생산공장에 주로 납품하는 아이신도 한미 FTA 발효 이후 상황을 모니터링해가면서 구체적인 구매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kong7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