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보레 EN-V, "이것이 미래 교통수단이다"

입력 2011년10월13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제너럴모터스(이하 GM)가 차세대 "EN-V(Electric Networked-Vehicle)" 컨셉트카 개발을 쉐보레 브랜드로 진행한다고 12일(미국 시간)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실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세계 주요 도시에서 시범 운용 프로그램을 가질 계획이다. 이에 대해 글로벌 쉐보레 마케팅 및 전략부문 크리스 페리 부사장은 "2030년까지 세계 80억 인구 중 60% 이상이 도심 지역에 거주하게 되는데 쉐보레 EN-V 컨셉트는 이런 곳에서 삼각한 교통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트워크화된 전기차라는 의미의 EN-V는 전기로 도심 지역을 이동하기 위한 2인용 컨셉트카다. 개인 운송수단은 물론 늘어나는 교통 혼잡 및 환경 문제에 대응토록 개발됐다. 지난해 상하이 세계 엑스포에서 발표돼 각광을 받았으며, 에너지 소비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았다.



이번에 개발에 들어간 차세대 EN-V는 기존과 비교해 온도 조절, 개인 수납공간, 모든 기후 및 노면 상태에서의 작동 등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췄지만 조작성과 같은 주요 특성은 그대로 유지했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 받아 배기가스 배출이 전혀 없으며, 표준 가정용 전력을 이용해 충전할 경우 1회 충전에 40km를 이동할 수 있다.



GPS와 차간 교신, 거리측정 센서를 결합해 자동 운전이 가능한 점도 특징이다. 여기에 무선 통신을 활용, 운전자와 탑승자가 운행 중 타인과 통신할 수 있다. GM 선행기술 컨셉트카 담당 크리스 보로니 버드 임원은 "쉐보레 EN-V는 전기 동력과 네트워크 기반의 연결성을 결합한 새로운 특징을 창조해 주요 시장에서 교통수단 혁신의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교통 혼잡, 사고로부터 자유롭고 석유와 배출 가스가 없는 도심 운송을 위한 최적의 해결책이자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재미와 패션적인 요소를 강조한 모델"이라고 밝혔다.



한편, GM과 SSTEC(Sino-Singapore Tianjin Eco-City Investment and Development Co.Ltd.)는 지난 4월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전력, 통신, 물리적 인프라에서 차세대 EN-V를 탄진에코 시티에서 통합 운용키로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보로니 버드는 "쉐보레는 잠재적인 시범 프로그램을 위해 미국 등 세계 다른 지역에서의 시범 운영도 모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진우 기자 kuhiro@autotimes.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