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별 명암 하루 사이에 엇갈려 국토해양부와 교통안전공단이 21일 발표한 "2010년 자동차검사결과" 중 부적합률의 해석을 놓고 업계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판매대수가 많은 경우 불리할 수 있는 데다 소비자들이 품질 문제로 오인할 수 있다는 것.
총 검사대수는 125만1,077대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차는 22만688대다. 이 중 현대가 56만9,754대로 전체의 45.2%를 차지했지만 부적합대수는 5만875대에 불과했다. 기아는 32만5,106대 중 4만4,688대, 한국지엠은 18만2,604대 중 4만7,781대, 르노삼성은 10만895대 중 3만2,313대다. 쌍용은 총 8만1,718대 가운데 4만5,031대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국토부가 당초 21일 오전에 밝힌 부적합률은 현대 20.2%, 기아 17.7%, 한국지엠 18.9%, 르노삼성 12.8%, 쌍용 17.9%였다. 하지만 같은 날 오후 배포된 자료에선 현대 8.9%, 기아 13.7%, 한국지엠 26.2%, 르노삼성 31.7%, 쌍용 55.1%의 부적합률을 보였다.
이와 관련 국토부 관계자는 "원래 발표한 건 총 검사대수 중 부적합대수를 각 사의 부적합대수로 나눠 얻은 값"이라며 "많이 팔리는 업체가 불리할 수 있는 데다 업계에서도 계산법과 관련된 문의가 많아 각 사별 검사대수대비 부적합대수를 따져 정정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그는 "쌍용차의 경우 대부분이 구형 디젤차여서 이 같은 결과를 보였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공공기관의 이런 행동을 두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얘기가 나돈다. 한 관계자는 "결과를 산출한 계산법을 밝히는 게 원칙"이라면서 "민감할 수 있는 회사별 비율을 임의로 공표한 건 아쉬운 부분"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자동차 검사는 운전자의 운행 습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이 점을 강조하지 못해 소비자들의 혼란을 야기할 소지가 다분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결과에 따르면 소형차보다 대형차가, LPG차가 휘발유나 경유차보다 주행거리가 길었다.
박찬규 기자 star@autotimes.co.kr
▶ 폭스바겐, "오리지널 드라이버 캠페인" 관심 폭증▶ 넥센, "엔블루 에코" 소비자가 평가한다▶ 르노삼성, 협력업체 기술교육 실시▶ 한국차, 중국 잡아라 "광조우 총출동"▶ 팅크웨어, 매립형 아이나비3D 출시▶ 국토부, 車검사 합격율 차종마다 "제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