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판매되는 대부분 차종에서 주행 중 실내로 일산화탄소가 유입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성능연구소는 최근 배출가스가 자동차 실내에 유입된다는 민원이 제기된 그랜저HG에 대한 제작결함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행 중 일산화탄소가 12.6~36.7ppm 검출됐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이 된 그랜저HG는 2.4 GSL, 3.0 GSL, 3.3 GSL 등 3종. 모든 차종에서 정부가 허용하는 실내 기준치 10ppm을 넘어서는 일산화탄소가 나왔다.
그랜저 외에 시중에 다니는 출고 3년 이내의 국산차 13종, 수입차 5종도 대부분 일산화탄소가 유입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의 실내 기준치를 넘어서는 국산차로는 K5 2.0 GSL(21.0ppm), K7 3.0 LPG(17.9ppm), SM3 1.6 GSL(15.9ppm)다. 수입차 중에는 미쓰비시 이클립스(70.7ppm), 벤츠 E350 GSL(25.4ppm) 등이며, SM5 GLS는 조사차 가운데 유일하게 일산화탄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수입차 중에서는 아우디 A6 3.0T GSL이 1.0ppm으로 검출량이 적었다.
이번 조사는 자동차 실내 공기조절장치 스위치를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내부순환상태로 놓고, 시속 100~140km으로 약 30분 동안 급가속과 급감속을 반복하는 극단적 주행상황에서 이뤄졌다. 실내 공기조절장치 스위치를 바깥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순환 상태로 놨을 때 일산화탄소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주행속도 80km 이하에서도 배출가스 실내 유입 현상이 미미했다.
교통안전공단은 "향후 의료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자동차 실내에 유입된 일산화탄소의 유해성 여부를 확인한 뒤 내달 15일까지 결함 여부를 최종 판단할 계획"이라며 "시정조치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주기적으로 외부순환모드를 사용해 자동차 실내공기를 환기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강호영 기자 ssyang@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