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2차전지 핵심 소재 리튬인산철 양극재 생산
LG화학이 독일 수드케미와 대용량 리튬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리튬인산철 양극재를 생산하는 국내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한다. 이와 관련, LG화학은 13일(한국시간), 캐나다 몬트리올에 위치한 수드케미 현지 공장에서 김반석 부회장, 귄터 폰 오 수드케미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MOU 조인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독일에 본사를 둔 수드케미는 리튬인산철 양극재 분야 세계 최대 업체로 독일과 캐나다에 현지 공장을 운영 중이다. 2차전지 소재를 비롯해 촉매, 흡착제 등 다양한 사업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0년에 12억3,000만 유로(한화 약 1.9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양극재는 리튬 2차전지 재료비의 약 40%를 차지하는 핵심소재로, 이 중 리튬인산철 양극재(LFP, LiFePO4)는 풍부한 철을 활용해 가격경쟁력이 높고, 안전성 및 저장성이 뛰어나 최근 ESS(에너지저장시스템)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리튬인산철 양극재 생산 및 차세대 소재 공동 개발에 적극 협력키로 하고, 2014년 말 양산을 목표로 국내에 연간 2,500t 규모의 생산공장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LG화학은 리튬인산철 양극재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ESS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의 사업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게 되고, 수드케미는 LG화학을 고객사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드케미는 리튬인산철 양극재 분야의 원천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LG화학은 이번 합작을 통해 향후 제기될 특허 이슈를 사전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리튬인산철 양극재 세계 시장은 현재 시장 규모가 작지만 향후 ESS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 성장에 따라 2015년 5만3,000t, 2020년 14만t 규모로 대폭 성장이 예상된다. LG화학 김반석 부회장은 "양사가 보유한 독보적인 기술과 제조 노하우를 결합해 최고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합작은 앞으로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ESS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선점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세계 ESS용 리튬 2차전지 시장은 현재 6,000억원 수준에서 2020년 약 12조원 규모로 연평균 35% 이상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LG측은 밝혔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혼다, 신형 CR-V 국내 상륙▶ 아우디, "내년 고성능 신차 쏟아낼 것"▶ 포르쉐, 독일서 내구성 인증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