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관련 업체, 학계 등이 참여한 전기차 세미나 "EV테크·비즈니스 데이"가 지난 27일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특히 국토해양부, 환경부, 지식경제부 등 전기차 정책 관련 부처가 모두 참여해 업계의 관심을 끌었다. 전기차 개조회사인 파워프라자 김성호 대표는 이번 행사와 관련, "정부 부처 실무자들이 직접 발표자로 나선 만큼 올해 정책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참가 이유를 설명하기도 했다.
이날 지식경제부 강규형 사무관은 "그린카 산업 발전전략 및 과제"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서 "2015년까지 글로벌 그린카 기술 4대 강국에 진입하기 위해 기술개발, 보조금 지급, 충전 설비 등 인프라 구축, 제도 정비 등 구체적인 지원 계획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된다"며 "그린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환경 문제는 물론 나라 경제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부 강부영 사무관은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추진계획"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지난해까지 정책의 성과를 소개하며 향후 과제로 보조금 등 인센티브의 제도화, 전기차 양산체제 구축, 충전 인프라 확충 등을 꼽았다. 강 사무관은 "보조금 지원과 세제혜택 등을 통해 공공부문 수요확대 기반을 마련하고, 제주도 등 관광지 거점의 친환경 투어 등을 통해 보급대상 확대 및 차종 다양화라는 가시적인 성과를 이끌어 내겠다"고 올해 전기차 보급계획을 설명했다.
국토해양부 김태경 사무관은 "국토부의 그린카 정책현황 및 과제"를 주제로 잡고 정부 합동으로 진행되는 그린카 사업의 추진 배경과 현황, 향후 계획 등을 밝혔다. 김 사무관은 "그린카 운행지원을 위한 제도가 미흡했던 건 사실"이라며 "저속전기차 운행구역 제도 등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을 수 있는 사항에 대해 제도 보완에 착수하는 등 관련 법규 및 제도 정비를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등은 세미나를 통해 전기차 보급 정책 현황과 전기차 전기차 운영 대한 실증 사례, 전기차 개조에 대한 현안과 추진방향 등의 주제를 발표했다. 관련 업계도 충전 인프라 구축, 전기차 개발 사례, 전기상용차 시장 현황과 전망 등 다양한 주제로 현재 전기차 관련 업체들의 기술 수준과 산업 종사자들이 전망하는 전기차 시장의 방향 등을 소개했다.
한편, 이날 전기차 관련 업체들 사이에서는 관련 부서들의 정책 설명과 관련해 "크게 달라진 게 없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 회사 관계자는 "국토부는 어느 정도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환경부나 지경부는 아직 소극적"이라며 "정부가 당초 전기차 보급 계획을 달성하려면 실제적인 지원 등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내비게이션, "팅크웨어 vs 파인드라이브" 승자는?▶ 석유공사, 한국글로벌에너지와 유통사업 양해각서 체결▶ 현대차, "새로운 글로벌 브랜드 경영" 박차▶ [시승]빠른 달리기 높은 효율, BMW 320d 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