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쉐어링 포럼 창립총회 및 세미나 개최
카쉐어링 포럼이 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창립총회 및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관련 기관, 학계,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카쉐어링의 정책추진방향과 의의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을 가졌다. 발표자들은 공통적으로 카쉐어링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한편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을 촉구했다.
홍익대학교 추상호 교수는 "공유경제와 카쉐어링 기반의 친화경 교통체계"라는 발표를 통해 "소비중심의 소유경제에서 공유시장경제로의 전환은 세계적인 흐름"이라며 "저출산율과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 구조적 변화를 고려해도 카쉐어링 보급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협성대학교 정인환 교수는 경기 군포 지역에서 지난 2011년 2월28일을 끝으로 종료한 카쉐어링 서비스 사례를 소개하며 "초기 투자비용이 크고, 관련 법규나 제도 지원이 미흡해 수익을 내기 어려웠다"고 설명한 뒤 "실패 사례에서도 배울 점은 분명히 있고, 접근성을 위해 다수의 스테이션을 설치하고 추가로 차를 구입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그린카 이봉형 대표는 지난 4개월간 카쉐어링 사업 성과에 대해 "4개월 간 4만 명 이상의 회원을 모집할 수 있었다"며 국내 카쉐어링의 잠재 수요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환승할인 등 대중교통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정부 및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카쉐어링 보급 확대가 빠른 속도로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발표에 이어 준비된 좌담회에서는 카쉐어링 사업의 자생가능성과 사업 방향성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서울연구원(구 서울시정연구소) 윤혁렬 실장은 "카쉐어링 사업의 목적성을 명확히 하고 이에 따른 접근이 필요하다"며 "주차공간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한다면 정부나 지자체에서도 충분히 매력적으로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교통문제 해결과 친환경적 접근에 대해 한국교통연구원 장원재 위원은 "선진국들은 자동차 보급이 포화 상태지만 국내 사정은 그렇지 않다"며 "카쉐어링이 보급되면 오히려 교통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전기차 도입과 관련해 장 위원은 "카쉐어링 사업이 주로 단거리, 단시간 사용자를 주 타깃으로 삼는 만큼 전기차에 적합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힌편, 교통신문 박종욱 국장은 "대리운전과 학원차 운행은 정부의 지원이나 정책이 충분하지 않았어도 실제적인 필요에 의해 일일 80만명 이상 이용할 정도로 시장확대가 가능했다"며 "카쉐어링이 하나의 산업으로 어느정도 규모를 갖추고 고용창출 등 파급효과가 있을 때 정부를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기아차 K5 하이브리드 타면 중국 사막에 나무 기증▶ 엔저현상, 일본차 상황 변화는?▶ [칼럼]탄소 감축 위한 탄소 확보 전쟁▶ [기획]토요타 캠리, 103가지 변화의 실체-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