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공단이 가족의 달 5월을 맞아 최근 3년간 어린이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해 1일 발표했다.
공단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발생한 12세 이하 어린이 교통사고수는 총 4만2,398건으로 342명의 사망자와 5만1,87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 중 어린이날을 비롯 각종 행사나 소풍 등 야외활동이 많은 5월에 어린이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4,475건으로 전체 10% 이상이 5월에 집중된 것. 이 중 어린이날인 5일에는 194건의 사고가 보고됐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4시~6시 사이에 8,855건의 사고가 발생, 최고 빈도수를 기록했다. 어린이 사망은 오후 2시~4시에 78명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시간대 분석에 따르면 오후 2시부터 저녁 8시까지 어린이 교통사고의 56.1%, 어린이 사망자의 55.8%가 집중됐다.
어린이 교통사고를 발생시킨 가해 운전자의 법규위반사항은 안전운전의무불이행이 2만4,798건으로 가장 많아 관련 법규 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신호위반(4,837건), 보행자보호의무위반(3,567건), 안전거리미확보(2,642건) 순으로 대부분 운전자의 부주의가 원인이었다.
사고 유형은 사망자의 경우 걷고 있었던 어린이가 62.0%(212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상자는 자동차에 타고 있던 어린이가 52.0%(26,973명)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보행 중 사망한 어린이 212명을 학년별로 구분해보면 취학 전 아동 77명,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91명,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40명으로 저학년 이하 어린이의 보행 사망자 비율이 80%에 육박해 저학년 이하의 보행 안전에 많은 관심과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김태정 통합DB처장은 "5월은 어린이들의 활동이 많은 시기로 운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며 "승·하차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많큼 이 부분에 대한 주의도 필요하다"고 안전운전을 당부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1분기 판매된 승용차, 10대 중 1대는 수입차▶ 신형 싼타페, 2,802만원부터 3,776만원까지▶ 수입차 전시장, 대형화 바람 거세게 불어▶ 볼보, 창립 85주년 기념 프로모션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