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기차 충전소 2,600기 설치한다

입력 2012년05월17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정부가 지난해 400여대 보급된 전기차를 올해 말까지 2,500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충전기를 최대 2,600기까지 설치할 계획이다.

 환경부 교통환경과 전기차 보급 T/F 박만칠 팀장(사진)은 16일 BMW 전기차 세미나에 참석, 이 같이 밝힌 뒤 개인이 전기차를 구입하면 충전기 비용을 최대 88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 팀장은 이날 세미나에서 정부 정책 현황 발표자로 나서 향후 전기차 보급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이유로 내연기관의 한계를 꼽았다. 그는 "순수한 내연기관의 경우 ㎞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20g 이하로 줄이기 어렵다"면서 "전기차 확대는 당연한 수순"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재 전기차가 지닌 주행거리 한계가 있는 만큼 향후 친환경차의 패턴은 거리별로 다르게 될 것"이라며 "장거리는 연료전지, 중거리는 하이브리드, 단거리는 전기차가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단거리 전기차 보급 전략 지역으로 제주도를 꼽았다. 박 팀장은 "제주도의 모든 차를 전기차로 바꿀 것"이라며 "단거리 전기차 주행 지역으로는 가장 적합하고, 관광자원 보호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민간 사업자의 참여도 적극 독려했다. 그는 "전기차 세제지원 정책은 이미 시작됐지만 전기차 확대가 정부만의 판단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충전 사업자로 민간 업체가 많이 나서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전기차 1대를 완충하는데 필요한 전기료는 1,500원 정도인데, 이 중 일부만 마진으로 확보해도 충분한 사업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최근 정부가 전기차 충전 사업자를 모집하지만 적극적으로 나서는 기업이 없음을 염두에 둔 말이다. 

 전기차 보급 위해선 카쉐어링이 필수라는 입장도 밝혔다. 박 팀장은 "자동차는 점차 소유가 아니라 이용의 개념으로 바뀐다"며 "지식경제부가 추진하는 카쉐어링 사업 등을 통해 전기차가 많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의 전기차 보급 의지에 따라 전기차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르노삼성이다. 특히 이 회사가 개발한 SM3 Z.E.는 1회 충전으로 도시주행 모드에서 최장 182㎞(한국환경공단 인증), 최고시속 140㎞로 달릴 수 있다. 최대 모터파워는 70kW, 최대토크는 22.6㎏.m의 성능을 확보했다. 전력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출발과 동시에 최대토크가 발휘돼 가속력은 가솔린 대비 30% 정도 앞서 있다. 리튬 폴리머 배터리 무게는 250㎏이며, 속도가 떨어지면 배터리 충전을 위해 에너지 복원 시스템이 가동된다. 배터리는 트렁크에 수직으로 장착됐고, 이를 고려해 일반 SM3보다 차체 길이를 13cm 늘렸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 수입차, 부산모터쇼 참가 전략은 "실속"
▶ 미쓰비시, "스바루 넘은 뒤 실적 공개하겠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