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른바 자동차 급발진 원인을 찾겠다고 나섰다. 급발진 사고로 추정되는 차의 "이벤트 데이터 기록장치(EDR)"를 분석하고, 전자식 스로틀 제어시스템(ETCS)이 급발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지난해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NASA)"가 같은 조사를 벌여 원인을 찾지 못한 것과는 별개로 조사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행동에 자동차회사는 반색을 하고 있다. 엄청난 과학 인력을 보유한 자동차회사 스스로도 급발진 원인을 찾지 못해 왔기 때문이다. 현재 과학으로 입증이 불가능했다는 점에서 그간 자동차회사는 급발진을 운전자 오조작으로 판단했다. 자동차의 기계적 구조를 감안할 때 오조작이 아니면 급발진이 불가능해서다.
물론 정부가 급발진 원인을 찾아 낼 가능성은 크지 않다. 그럼에도 찾으려는 노력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정부 관계자는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이라도 해보자는 것"이라며 "현재로선 찾아내지 못할 가능성이 더 크지만 가만있을 수는 없지 않느냐"고 전한다.
자동차 과학계에서도 급발진 원인은 논란이 분분하다.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조용석 교수는 "급발진 현상으로 분석이 됐다면 원인이 분명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현재까지 찾아내지 못했을 뿐 없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과학 수준으로는 찾아내기 어려운 과제"라는 말도 남겼다. 결국 급발진이 있다는 가정 하에 입증이 안됐을 뿐이지만 반대로 입증이 불가능해 없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닌 셈이다.
중요한 것은 이런 조사가 일회성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당장 여론에 밀려 정부가 조사에 나섰지만 조사 후 아무런 원인을 찾지 못한 뒤 다시 잠잠해지면 곤란하다. 이런 이유로 전문가들은 원인을 찾아낼 때까지 정부의 예산이 적극 투입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당장 찾지 못해도 끝까지 밝혀낸다는 각오로 아예 영구조사위원회를 꾸릴 필요성도 제기한다. 미국 항공우주국이 찾지 못했다고 한국이 밝혀내지 못할 것으로 예단할 수 없지만 언젠가 찾아 내려면 "지속"이 필수여서다. 그렇게 해서 찾아낸다면 한국 자동차회사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해결 방안을 먼저 적용할 수 있어서다. 자동차회사가 정부의 급발진 원인 찾기의 성공을 바라는 이유이기도 하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금호타이어, 크라이슬러 닷지 신차에 OE 공급▶ 기아차, 경차 레이 밴(VAN)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