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업계, "정부 지원 대중교통으로 인정해 달라"

입력 2012년06월19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택시업계가 20일 파업과 대규모 집회를 예고한 가운데 택시조합측은 택시의 대중교통 법제화를 가장 시급한 문제로 꼽았다.

 19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의 홍명호 상무이사는 "택시가 대중교통으로 인정받으면 택시업계와 이용자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간다"며 "기준만을 앞세울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부분을 바라봤으면 한다"고 말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대중교통으로 인정을 받으려면 버스처럼 일정한 노선이 있어야 하며, 운행 시간표가 마련돼야 한다. 또한 불특정 다수의 대량 운송이 전제된다. 이를 모두 충족해야 대중교통체계에 편입될 수 있다. 그러나 택시업계는 ▲연계수단으로서 타 대중교통을 연결하는 점 ▲24시간 운행으로 운송 공동화를 해소하는 점 ▲1회 탑승객은 적어도 이용자가 다수인 점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택시업의 대중교통 법제화에 대한 정당성을 묻는 질문에 홍 이사는 "택시의 수송분담률이 45%에 이른다"며 "버스 및 지하철과 비교해도 택시가 운송분야에서 부담하는 비중이 상당한 만큼 대중교통체계에 편입되는 것은 당연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이용자들이 연계교통수단에 포함돼 버스와 지하철 이용자가 환승할인을 받을 수 있다"며 "올해 버스와 지하철 요금이 소득공제 대상이었던 것처럼 택시요금도 공제 대상으로 선정될 여지가 높다"고 강조했다.  

 택시업계의 다른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설명을 이어갔다. 택시비 인상이 없던 지난 3년간 LPG 가격은 36% 이상 인상됐고, 그 동안 물가 상승률도 높아 유류비 지원 및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현재 운행되는 택시가 시장 규모에 비해 과잉인 점은 시인하지만 택시 사업의 체질 개선을 위해 감차 보상과 디젤택시 도입을 위한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택시업계의 집단 움직임은 당초 예정대로 진행될 계획이다. 시간적으로 촉박한 데다 19일 오전 이후 정부와 택시업계의 접촉이 사실상 중단돼 막판 협상 여지가 사실상 크지 않다. 이에 따라 20일 0시를 기점으로 24시간 동안 전체 25만대 중 70% 이상이 파업에 동참하며, 오후에는 서울 광장에서 대규모 집회가 벌어질 예정이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가파르게 가격 오른 미니버스, 대우가 견제할까
▶ 미쉐린, 르망 24시 15년 연속 우승
▶ 이륜차 배출가스 검사 2013년부터 시행
▶ 르노삼성차, 자동차설명은 이제 동영상으로!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