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세계적으로 자동차 판매가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21일 "2012년 하반기 경영환경전망"을 발표하며 올해 세계 자동차 판매는 하반기로 갈수록 성장세가 떨어지는 "상고하저"(上高下低)로 내다봤다. 상반기까지는 일본업체들이 지난해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생산차질을 만회하면서 세계적으로 3,970만대를 팔아 7%의 성장세를 보였지만 하반기 이후에는 유럽발 재정위기의 신흥시장 확산, 미국의 경제회복세 약화 등으로 성장률이 4%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연간 판매대수는 7,840만대로 작년보다 5.8% 늘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작년 증가율(4.8%)을 웃돈다.
올해 국내 자동차 판매는 155만대에 그치며 지난해(158만대)보다 2.1% 줄어들 것으로 추측했다. 그러나 수입차 판매는 한·EU FTA에 따른 관세 인하, 중저가 브랜드 출시 확대 등으로 20%이상 늘어나며 시장점유율이 지난해의 6.6%에서 8%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세계 자동차시장의 특징은 "지역별 차별화 심화"와 "주요 메이커 공세 강화"로 분석했다. 특히 지난 금융위기 이후 성장을 지속하며 세계 자동차산업을 견인했던 브라질과 러시아, 중국 등 신흥권 시장의 활력이 크게 떨어지는 걸 위협요인으로 지목했다.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유럽에서는 올해 판매가 2007년에 비해 360만대 가까이 줄어든 1,464만대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유럽에서의 자동차 판매가 금융위기 이후 5년째 감소하는 것이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그 동안 전반적인 세계 경제 악화에도 강력한 경쟁자인 일본업체의 부진에 따른 반사이익과 환율 상승 등으로 국내 자동차업체가 선전할 수 있었다"며 "하반기에는 세계 경기둔화뿐 아니라 경쟁업체들의 공세 강화가 예상되는 만틈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올해 세계와 국내 경제 성장률 전망을 각각 기존의 3.5%와 3.6%에서 3.3%와 3.4%로 하향 조정했다. 성장률 전망 하향의 주요인으로는 유럽 재정악화와, 예상보다 빠르게 나빠지고 있는 신흥권의 경제상황을 꼽았다. 또 유럽 재정위기의 지속적인 재발과 중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 등을 하반기 주요 불안요인으로 꼽았다.
강호영 기자 ssyang@autotimes.co.kr
*2012 하반기 경영환경 전망 자료실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