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자동차가 내년부터 준중형급 전기차를 판매할 예정이다. 가격은 아직 정하지 않았으나 제품력은 갖췄다는 게 회사측 자랑이다. 실제 SM3 전기차는 진동과 소음이 거의 없고, 가속할 때 전기저항이 적다는 점이 경제성 이외의 또 다른 매력이다.
순수 전기차인만큼 시동을 거는 게 아니라 전원을 넣는다고 해야 맞는 표현이다. 전원을 켜면 계기판에 "레디(READY)"라는 녹색등이 들어온다. 24㎾h(360V 64.8Ah) 전력을 가진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가 전력공급 준비를 마친다. 시프트레버를 주행(D) 모드에 놓으면 달릴 준비는 끝난다. 전기차는 변속기가 아니라 감속기로 속도를 제어한다.
가속 페달을 밟으면 차가 조용히 움직인다. 힘을 조금 주면 순간적으로 모터회전이 빨라지면서 속도를 높이는데, 가속감이 확실히 좋다. 전기차의 가장 큰 특징 가운데 하나인 회전저항이 일반 내연기관에 비해 적은 덕분이다.
전력을 바퀴에 전달하기 위해 가속 페달을 밟는 순간부터 23.0㎏·m에 달하는 최대토크가 뿜어져 나온다. 덕분에 가솔린과 비교하면 시속 50㎞까지 도달할 때 전기차가 1.8초나 빠른 4.1초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무엇보다 인상적인 점은 역시 진동·소음이다. 신호대기를 위해 차를 멈추면 고요할 뿐 그 어떤 소음과 진동도 없다. 물론 주행할 때는 노면소음과 바람소리가 들리지만 적어도 엔진에서 밀려오는 부밍은 없고, 전기모터 회전소리도 상당히 억제돼 있다. 가솔린차 대비 실질적인 체감 소음감소 효과만 3㏈에 이른다고 한다.
내리막길 주행 때는 회생제동 기능이 작동해 에너지를 비축한다. 그 만큼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다. 현재 완전충전 후 주행가능한 거리가 182㎞(도심 기준)로 그리 길지 않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다. 전기차도 일반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무거울수록, 고속으로 달릴수록 전력소모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에너지사용량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게 당면과제다.
르노삼성도 이런 점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충전방식은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최대 6~8시간을 충전할 수 있도록 했고, AC 22㎾ 또는 43㎾ 급속충전기로 최대 1시간 이내 전력을 비축하는 방법도 만들었다. 그래도 충전이 번거로우면 이미 충전돼 있는 배터리로 교환할 수도 있다.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미약한 단점을 다양한 충전방식의 혼용으로 극복한 셈이다.
그래도 늘 전력 잔량에는 신경이 쓰이기 마련이다. 그래서 배터리 전력은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했다. 계기판 눈금에 표시되는 것 외에 주차돼 있어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배터리 충방전 정보를 알 수 있다. 전기차 충전망이 완벽해질 때까지 늘 전력에 신경써야 한다는 의미다.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전기차는 비용이 관건이다. 2,000원을 주고 1ℓ의 휘발유를 산 뒤 15㎞를 간다고 할 때 전기차는 3㎾가 필요하다. 하지만 3㎾의 충전비용은 300원이다. 가솔린과 비교해 비용이 15에 불과한 셈이다. 게다가 엔진오일 등이 필요없어 정비비용도 줄어든다. 르노삼성도 소비자 입장에서 가장 관심있는 경제성에 판매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구입비용은 기본적으로 지원금액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 정부는 전기차 지원금을 동급 가솔린차와의 차액 가운데 절반으로 정해놨다. 예를 들어 SM3 Z.E가 5,000만원이고, 가솔린 SM3 1.6의 가격이 1,700만원이라면 차액은 3,300만원이다. 이 경우 3,300만원의 절반인 1,650만원을 지원한다. 이를 적용하면 실제 구입비용은 3,350만원이다. 단독주택처럼 마당에 충전기를 설치하려는 경우 최대 880만원의 충전기 설치비도 대준다. 정부가 추진하는 "장거리-디젤, 중거리-하이브리드, 단거리-전기차"라는 수송분담률을 위해서다.
SM3 Z.E를 타보면 전기차와 일반 내연기관차 사이에 별 차이가 없다는 걸 쉽게 알 수 있다. 동력원만 다를 뿐 움직임은 같다. 따라서 전기차에 어떤 편견을 갖기보다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시각이 필요하다는 게 르노삼성의 설명이다. 전기 에너지원이 화력 및 원자력 등에서 확보, 친환경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지만 향후 태양열 등에서 에너지를 가져오는 기술을 적용할 경우 전기차는 99% 무공해차가 된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시승]핸들링 보강하고 더 고급스러워진 "강남 아줌마들의 국민차"▶ [칼럼]현대차에 뒤진 폭스바겐, 폭스바겐에 뒤진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