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자동차가 급변하는 운전환경에 대비해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새로운 안전 시스템을 12일 공개했다.
볼보차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운전중 전화, 이메일, DMB시청 등 "운전자 부주의"가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볼보차는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전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연구, 선보이고 있다. 개발중인 안전 시스템은 자동주행지원기술과 교차로지원기술 그리고 야생동물과의 추돌을 방지해주는 동물탐지기술 등이다.
자동주행지원기술은 교통정체 시 운전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차에 장착한 카메라와 레이더 센서를 통해 차의 전방 움직임을 감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저속으로 자동 주행한다. 주행중 장애물이 나타났을 때도 스티어링 휠이 자동 조정되어 장애물을 피할 수 있다. 이 때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이 기술은 즉시 해제된다.
교차로지원기술은 교차로와 4거리에서 교통사고가 빈번하다는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이들 장소에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연구중이다. 이 기술은 교차로에서 신호등에 따라 차들이 좌회전할 때 반대편에서 적색 신호를 무시하고 돌진하는 차에 대비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충돌을 막는다. 볼보차는 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세계의 다양한 교통환경에서 수십만㎞를 시험주행했다.
동물탐지기술은 주야간에 동물을 감지,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스웨덴의 경우 2010년 기준 4만7,000건의 동물관련 교통사고가 보고됐다. 미국에서도 야생동물로 인한 사고로 연간 200명이 사망하고 있다. 여기에 운전자가 동물을 피하기 위해 급회전해 다른 차와 추돌하거나 도로를 이탈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면 교통사고의 피해는 엄청나다.
볼보차는 기존 보행자추돌방지 시스템을 발전시켜 야생동물과의 추돌사고를 막는 안전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주로 100~110 km/h의 고속주행 시 야생동물과의 추돌사고가 많다는 점에 착안, 추돌속도를 80km/h 이하까지 낮췄으며 약 30m 거리에서 동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야생동물들의 다양한 모습과 움직임을 수집, 데이터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나 향후 맷돼지 등 작은 동물까지 감지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볼보차는 "2020년까지 탑승객이 중상해를 입거나 사망하지 않도록 한다는 기업 비전 아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 시스템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호영 기자 ssyang@autotimes.co.kr
▶ 푸조, 9인승 미니밴 "익스퍼트" 국내 도입▶ 기아차, "뉴 쏘렌토R로 아우디 Q5 겨냥했다"▶ 시트로엥, DS4 국내 판매 시작▶ 혼다, "N박스 "플러스" 일본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