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G 택시, 자동차 안전기준 부적합 지적

입력 2012년10월10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CNG 승용차와 택시 등의 안전성이 도마에 올랐다


 11일 민주통합당 윤후덕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CNG 승용차 및 택시의 경우 구조변경 때 용기 중량이 60㎏을 넘지 못하도록 돼 있지만 지금까지 이런 규정이 무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동차관리법에 따르면 내압용기는 검사를 받을 날로부터 8년 이하에 한해 재사용을 예외로 인정하지만 인증을 용기 제조사 또는 수입사에 맡기고 있어 안정성 여부도 알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한국가스안전공사도 올해 3월 공문을 통해 용기 재사용 금지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놨지만 국토해양부가 이를 외면했다는 게 윤 의원의 주장이다. 

 윤 의원은 자료에서 최근 휘발유와 LPG 가격 상승으로 승용차 및 택시의 CNG 구조변경이 급증했음을 주목했다. CNG차는 2009년 674대에서 올해 8월 현재 5,701대로 늘었다. 승용차는 4,063대, 택시는 1,598대에 달한다. 

 택시와 승용차에서 CNG로 구조변경을 하는 이유는 경제성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현재  CNG에 붙는 세금은 ㎏당 60원이다. 동일 용량에 275원의 개별소비세와 41.25원의 교육세가 더해지는 LPG의 20% 수준에 불과하다. 애초 수송용이 아닌 난방 및 취사용으로 들어온 것이어서 세금이 적다는 설명이다. 게다가 윤 의원은 CNG 용기 압력은 250기압으로 LPG 대비 70배에 달하는 만큼 사고 시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윤 의원은 국토부가 내압용기의 재사용을 전면 재검토하고, 택시노조도 CNG 택시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만큼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관련 업계의 의견을 반영해 "충전빈도가 일반차의 7-8배에 달하는 택시의 CNG 용기가 수명이 10년 이상인 일반승용차에 장착될 경우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 520d vs E300, 진짜 승부는 지금부터
▶ 쌍용차 렉스턴 W, 인도 시장 본격 상륙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