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유해가스 배출 막는 기술 개발

입력 2012년11월06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배출을 최대 90%까지 막는 기술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 그린동력연구실 오승묵 박사 연구팀은 바이오디젤 연료를 저온에서 태워 질소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PM) 배출을 기존 연료보다 90%까지 절감하면서 엔진 출력을 10% 이상 높이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는 지식경제부 "저온연소 연료최적화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두산인프라코어와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이 함께 참여했다.

 성과의 핵심은 저온연소 기술에 있다. 저온연소 기술은 절대온도 1천900도(섭씨 약 1천627도)를 넘지 않는 수준에서 연료를 태울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고온연소보다 질소산화물 같은 유해물질을 감소하는 데 효과적이나 탄화수소·일산화탄소가 많이 생기고 엔진 출력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한 기술로 기존 저온연소 기술의 장점은 유지한 채 탄화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잡고 출력의 희생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승묵 박사는 "건설기계·수송용 차량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 신재생에너지 시장을 활성화하는 데 이바지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특허 출원을 앞둔 이 기술의 연구 결과는 자동차 분야 국내·외 학술지에 실렸다.

walden@yna.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