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가 승용차 11종을 대상으로 각종 충돌평가를 실시한 결과 국산차가 수입차보다 안전도가 뛰어나다고 발표했다.
7일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충돌시험은 차 대 차, 차 대 보행자, 제동거리, 주행전복 등의 항목을 진행했다. 올해 평가한 차는 국산차 8종과 수입차 3종이다. 경형은 기아차 레이, 소형차는 기아차 프라이드, 준중형차는 현대차 i30, 중형차는 한국지엠 말리부, 현대 i40, BMW 320d, 토요타 캠리, 폭스바겐 CC, 대형차는 기아차 K9, 르노삼성 SM7, SUV는 현대차 싼타페다.
평가결과 자동차 안전도를 대표할 수 있는 "충돌분야(정면충돌, 부분정면충돌, 측면충돌, 좌석안전성)"는 7종이 모든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다. 반면 레이, CC, 320d, 캠리는 일부 2등급으로 판정됐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싼타페, i40, K9, 프라이드, 말리부, SM7이 수입차 3종에 비해 안전성이 높은 만큼 국산차의 안전도가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이번 충돌분야 평가결과 "올해의 안전한 차"로 7종(싼타페, 말리부, K9, 프라이드, i40, i30, SM7) 중 성적순에 따라 싼타페를 최우수차, 말리부와 K9을 우수차로 선정했다.
충돌분야 외에 보행자와 차가 충돌했을 때 보행자 상해치를 시험한 결과 전반적으로 안전도가 미흡했다.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차는 싼타페와 말리부로 63.3점, K9은 56.7점을 각각 받아 안전기준 70점에 접근했다. 반면 CC는 16.7점, SM7은 26.7점에 그쳤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보행자 안전도를 충돌안전도 수준으로 강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보행자 보호를 위한 안전기준을 제정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생산하는 차가 안전한 차로 뽑히려면 보행자 충돌분야에서 7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는 것.
한편, 국토부는 그 동안 충돌분야만 종합점수화(종합등급)하던 걸 내년부터 보행자 보호 등 평가를 전 항목으로 확대하고, 소비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평가기법을 바꾸기로 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한국어린이안전재단, 초중생 동계 캠프 열어▶ KAIDA, "내년 수입차 14만대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