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 200만대 미만이던 중고차 판매대수가 2012년 320만대를 돌파했다. 유가 상승과 경기 침체 속에서도 중고차 거래가 활발했던 셈이다. 이 같은 시장 경향에 발맞춰 제품 가치를 보전하고, 중고차를 고장 없이 유지하는 방법에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초적인 관리만 잘해도 오랜 동안 안전하고 편안하게 자동차를 이용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자동차 관리의 기본인 소모품 점검과 교체시기에 대해 알아보자
▲자동차의 심장, 엔진 관리는 어떻게? 자동차 엔진은 우리 몸의 심장과 같은 핵심 부품이다. 엔진은 산소와 연료를 흡입해 폭발시켜 동력을 제공한다. 엔진 각 부위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작동한다. 따라서 금속 부품 간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소모품이 엔진오일이다.
엔진오일은 공기와 접촉할 때 산화하는 성질이 있고, 엔진 내부 마찰로 발생하는 금속가루 등으로 오염이 쉽다. 일반적으로 주행거리 1만㎞마다 교환하는 게 정설이다. 그러나 가혹조건일 때는 1만㎞ 이하에 바꿔주는 게 현명하다.
엔진에 연결된 벨트류 점검도 필수다. 팬벨트는 엔진 동력을 이용해 에어컨과 발전기 등을 작동시킨다. 2년 정도 사용했거나 벨트 안쪽에 잔금이 있으면 교체해준다. 손가락으로 많이 눌리거나 탱탱한 상태가 아니어도 내구성이 다했다는 신호다. 엔진 내부 타이밍 벨트도 마찬가지. 고무 재질이라면 4만㎞마다 점검해주고, 8만~10만㎞ 주행 시 바꿔준다. 체인 벨트는 수명이 반영구적이지만 안전을 위해 18~20만㎞ 주행에는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이밖에 점화플러그는 종류에 따라 점검·교환 주기가 달라 제조사 권장주기를 숙지해야 한다.
▲튼튼한 하체, 안전운전의 기본 자동차 바퀴와 타이어, 현가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등은 다리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소모품으로 브레이크액과 패드다. 브레이크액이 부족하면 제동력이 온전히 발휘되지 않는다. 브레이크액은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강해 시간이 지나면 수분 함량이 높아져 제동력이 떨어진다. 2년 혹은 주행거리 4만㎞마다 교환이 권장된다. 또 브레이크 작동 시 금속 마찰음이 들리면 패드 상태를 점검 후 교체 여부를 결정한다.
현가장치는 무릎에 비유할 수 있다. 노면 상태에 따라 수시로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이다. 일반적으로 1만㎞마다 관리를 받는 게 추천된다. 또 바퀴를 고정하는 볼 조인트는 2만㎞마다 이상 여부를 점검하고, 관절에 해당하는 부싱도 함께 확인하도록 한다.
▲먼지를 걸러주는 코, 필터 차 곳곳에는 각종 필터가 설치돼 있다. 캐빈필터와 에어필터는 내부와 엔진으로 유입되는 먼지를 걸러준다. 연료와 엔진오일 찌꺼기를 걸러주는 연료필터와 오일필터도 있다. 에어필터와 오일필터는 엔진오일 점검 시, 캐빈필터는 6개월마다 교체하는 게 일반적이다. 연료필터는 3만~4만㎞마다 점검해준다.
▲달리는 차의 기본, 전방 시야 전조등과 와이퍼는 시야를 확보하는 눈과 눈썹과 같다. 수명 주기는 없지만 빗길이나 야간 운전 시 안전을 위해 수시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바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와이퍼의 권장 교환 시기은 9개월이다. 단, 유리가 잘 닦이지 않으면 와이퍼 블레이드 오염 여부와 경화 상태를 살펴봐야 한다. 블레이드 교체 후에도 상태가 나아지지 않는다면 와이퍼암이 고장났을 가능성이 높다.
▲자동차의 신경 계통, 전기 부문 인체 각 부위를 연결하는 신경계통과 마찬가지로 자동차 역시 전기를 통해 제어된다. 시동 시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고,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각종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도 배터리는 필수적이다. 겨울철에 시동이 잘 걸리지 않거나 구매 후 3년이 지났다면 배터리를 점검할 때다.
※자료제공: 한국로버트보쉬 자동차부품애프터마켓사업부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자동차 영업, 도심보다 지역 기반 세일즈 뜬다▶ 현대차, 순수예술 전시회 연다▶ 금호타이어, 사회복지법인과 후원 협약 맺어▶ 토요타, 교통 환경 개선위해 실증실험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