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등장 이후 중국 당·정이 공직자들의 사치 풍조에 제동을 걸면서 BMW, 벤츠 등 호화 차량 메이커들이 판매 신장세가 꺾여 울상이다.
13일 신경보(新京報)에 따르면 올해 들어 중국에서 호화 차량 판매 신장세가 크게 위축됐다. 올해 1분기 호화 차량 판매액 증가율은 8.34%에 그쳤다. 마이너스 성장은 아니지만 작년 동기의 판매 증가율에 비해 80%나 줄어든 수치다. 사정이 비교적 나은 BMW의 경우 올해 1∼4월 작년 동기보다 17.8% 늘어난 11만8천200대를 중국 시장에서 팔았다. 그러나 성장률을 놓고 보면 작년의 35%보다 17.2%포인트나 둔화했다.
BMW, 아우디, 볼보 등 26개 해외 브랜드 자동차의 1분기 수입 규모는 22만9천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9.4%나 감소했다. 불황을 모르던 중국의 호화차 시장에 경고등이 켜진 것은 시 총서기 취임 후 중국 당국이 "청렴한 정부"를 표방하면서 공직자들의 각종 사치·낭비 풍조에 사정의 칼날을 들이댔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베이징의 한 자동차 시장 부총경리인 옌징후이(顔景輝)는 "정부가 사치 소비 행태를 엄격히 통제하기 시작한 것과 정부의 호화 차량에 관한 부정적 사회 여론이 )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중국 공산당은 작년 12월 시 총서기가 주재한 정치국 회의에서 관용차 관리를 엄격히 하라는 등의 내용을 담은 "8개항 규정"을 제정하면서 전 공직 사회의 "청렴 운동"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를 계기로 감찰 당국은 접대를 핑계로 고가의 술과 음식을 사 먹거나 직급 규정을 벗어나 호화 차량을 관용차로 쓰는 공직자들에 대한 집중적인 단속에 들어갔다.
중국 내 특권층인 군도 개혁의 예외가 되지 못했다. 인민해방군은 이달 들어 군 번호판을 전면 교체하면서 벤츠, BMW, 벤틀리, 링컨, 재규어, 캐딜락을 비롯한 호화 브랜드 차량과 엔진 배기량 3천㏄ 이상이거나 차값이 45만 위안 이상인 고급 차량에는 새 번호판을 내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나랏돈을 제 돈처럼 함부로 쓸 수 있는 특권이 상당 부분 제약받게 되면서 공직자들의 "회색 소득"으로 지탱되던 중국의 명품 시장도 된서리를 맞았다. 최근 중국의 고급 백화점과 명품 판매점에서는 손님이 발길이 뜸해지면서 고가 시계와 가방 등 제품의 판매액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ch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