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적자 때문에 해마다 개최논란을 불러왔던 F1(포뮬러 원) 코리아 그랑프리가 올해 중대 분수령을 맞게 됐다. 3년간 누적적자가 1천700억원을 넘어선 데다 최근 전남도의회가 적자폭의 하한선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올해 대회의 성공 여부에 따라 대회 존폐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26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추가경정안 예산 심의에서 올해 적자 규모를 150억원 이하로 낮추지 못하면 내년 대회 개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F1대회 적자는 대회 첫해인 2010년 725억원을 시작으로 2년차 610억원, 지난해 386억원 등 3년간 1천721억원에 달한다. 올해는 정부 지원과 각종 대회 후원 등을 고려해도 259억원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이 규모는 지난 4월 F1조직위의 내부자료 적자 규모 238억원보다 20억원 가량 많아졌다.
전남도는 이에따라 적자폭 축소를 위해 다음달 박준영 전남지사가 "F1의 최고실력자"인 버니 에클레스턴 포뮬러원매니지먼트(FOM) 회장과 재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이 협상에서 전남도가 얼마나 개최권료 부담을 줄일지가 대회 순항여부의 관건이다.
전남도는 이미 F1경주장 인수 당시 2천억원에 육박한 지방채를 발행한 바 있다. 전남도는 그동안 포뮬러원매니지먼트와 개최권료(4천370만달러) 협상에서 연간 10% 할증료와 TV중계권료 등을 폐지하거나 면제받았다. 문제는 이번에 개최권료 자체를 최소 100억원 이상 줄일 계획인 전남도의 구상이 얼마나 FOM과의 협상에서 먹혀들 것이냐는 점이다.
전남도와 F1 조직위는 모터스포츠 불모지에 대한 배려와 열악한 재정상황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한다는 계획이지만 첩첩산중이다. 여기에 내년 대회는 민선 6기 새 지사가 선출돼 추진해야 하는 만큼 F1대회에 과연 얼마나 열의가 있을지도 의문이다. 이에따라 적자폭을 150억원 이하로 낮추지 못하거나 신임 지사가 전면 백지상태에서 대회 개최 검토를 지시하면 내년 대회는 사실상 불투명한 실정이다. 또 정부의 지원도 형식적인 데다 국내외 자동차 메이커들의 참여 의지도 결여돼 대회 수입구조 악화로 이어진다는 점도 큰 부담이다.
유럽 현지 자동차 매체인 스피드 위크(Speed Week)지도 내년 한국대회와 인도 대회 개최를 불투명하게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F1조직위 관계자는 "최악의 경우 대회를 포기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는 배수진을 치고 협상에 임할 계획이다"며 "그러나 외형상 적자 이상으로 지역이미지 개선 등 무형의 성과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nicepe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