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자동차가 달릴수 있는 바이오에탄올을 억새에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농촌진흥청은 일반 억새보다 2배 이상 큰 "거대억새1호" 재배단지 구축과 함께 억새에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파일럿 플랜트 규모의 시범공장을 전남 무안 농진청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에 설치했다고 24일 밝혔다. 크기가 4m에 달하는 거대억새1호는 옥수수나 사탕수수와 달리 비식용 에너지작물로 농진청이 2009년 바이오에너지용으로 개발했으며 최근 148㏊ 규모의 시범재배단지가 구축됐다. 재배단지에서 내년말부터 생산되는 억새는 3천∼4천t 정도로 수확된 억새는 "분쇄→전처리→당화→증류·탈수" 과정을 갖춘 시범공장에서 바이오에탄올로 변신하게 된다.
시범 공장에서 내년부터 생산되는 바이오에탄올은 연간 60만∼80만ℓ로 금액으로는 16억원치에 달할 전망이다. 농진청은 현재 100㎏의 억새에서 약 15ℓ의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효율화시키면 억새 1t당 200ℓ 이상의 에탄올 생산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농진청은 바이오에탄올을 만드는 핵심 전처리 과정인 억새에서 셀루로오스를 분리하고 당화를 위한 균주 선발을 국내 기술로 완성,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강변 둔치 등 전국 유휴지 5천㏊에 억새를 재배한다면 연간 2천만∼3천만ℓ까지 에탄올 생산이 가능하다고 농진청은 밝혔다.
농진청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구본철 연구관은 "선진국이 옥수수나 사탕수수 등 식용작물로 바이오에너지를 만드는데 반해 우리는 비식용 작물인 억새를 이용해 에탄올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며 "이번 억새 바이오에탄올 생산 시스템 구축으로 한국형 바이오에너지를 상용화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drop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