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중국의 국영 자동차기업들이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보다는 외국 기업과의 합작 법인을 통한 자국 내 시장 유지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의 국영 자동차기업을 중심으로 정부의 보호주의 정책을 유지하라는 요구가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정책의 일환으로 외국 기업이 중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할 경우 중국 기업과 50대 50으로 합작 법인을 설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의 국영 자동차기업은 해외 기업과 합작법인을 설립한 뒤 자동차를 생산해왔다. 상하이 자동차는 GM·폴크스바겐과, 광저우 자동차는 도요타와, 창안 자동차는 포드와, 동펑 자동차는 닛산·혼다·푸조·기아와 합작법인을 설립한 식이다.
합작법인을 세운 외국 기업들은 중국 측에 디자인, 공학, 마케팅 등의 대부분의 정보를 제공해왔다. 이 때문에 합작법인을 통해 생산된 차량은 외국 기업이 중국 밖에서 생산한 차량과 근본적으로 동일한 차량이다.
그러나 지난해 가을 이런 보호조항에 변화가 생길 조짐이 나타났다. 중국 상무부가 중국이 장래에 자동차 수출에 박차를 가할 경우 상대국이 보호조항으로 중국 기업들에 진입 장벽을 칠 것을 우려해 기존의 자국 내 보호조항을 삭제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자 중국의 국영 자동차기업들은 협회 명의의 기자회견과 성명을 잇달아 내놓으며 기존의 보호조항을 유지하라고 정부를 압박하고 나섰다.
보호조항 유지를 놓고 중국의 자동차 업계는 양분되는 분위기다. 대규모 국영 기업들과는 달리 중·소규모 기업들은 기존의 보호조항이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 경쟁에 저해되기 때문에 폐지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국영 기업들은 자동차 산업이 중국 경제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보호조항 없이 외국 기업과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할 수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의 국영 자동차기업들이 합작 법인에만 의존한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국영 기업이 그동안 합작 브랜드가 아닌 고유 브랜드를 통한 자동차 생산을 시도해왔지만, 제한적인 성공에 그쳤다.
NYT는 "중국 소비자들은 국내 기업이 생산한 더욱 싸고 간소한 자동차 모델보다 미국 등 외제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gatsb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