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ITS 세계회의서 자동운전 기술 뽐내

입력 2014년09월15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토요타가 지난 7일부터 개최된 "제21회 ITS 세계회의 디트로이트 2014"에 참가해 자동운전 기술에 관한 개발 상황을 발표했다.

 15일 토요타에 따르면 자동운전과 연결 기술은 교통사고 사상자 제로(0)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위해 개발되는 신기술로, 회사는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첨단 기술을 가능한 빨리 소비자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 소개된 고도운전지원 시스템은 고속도로에서 안전 운전을 지원하는 "오토메이티드 하이웨이 드라이빙 어시스트(AHDA)" 기술이 주를 이룬다. AHDA는 3가지 기술에 의해 작동하는데, 다이내믹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DRCC)과 레인 트레이스 컨트롤(LTC),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MI) 등으로 이뤄진다.

 우선 DRCC의 경우 전면 그릴에 장착된 77㎓의 밀리파 레이더로 앞 차를 검지, 일정한 속도로 차간 거리를 확보하며, LTC는 전방 카메라나 77㎓의 밀리파 레이더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차선이나 전방차를 인식해 최적 주행 라인을 산출해 자동으로 스티어링휠이나 속도를 조정한다. HMI는 운전자가 항상 운전의 주역이어야 한다는 컨셉트로 수동 운전과 자동 운전의 전환이 원활하도록 조작한다. 이 외에도 AHDA는 운전 집중도에 따라 경고를 보내기도 한다. 드라이버 모니터나 스티어링 터치 센서 등으로 운전자의 얼굴 방향과 손이 스티어링휠에 닿아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 

 함께 선보인 요소 기술은 "자동차용 이메징 레이저 레이더(SPAD LIDAR*1)"와 3D 헤드업 디스플레이다. SPAD LIDAR*1은 토요타 중앙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SPAD LIDAR"를 개선한 것으로 소형화, 저비용화했다. 또한 기존의 밀리파 레이더와 스테레오 카메라 양방의 기능을 1개로 갖춰 장애물의 위치나 형상을 고정밀도로 검지한다. 더불어 주야를 불문하고 외부의 빛에 맞춰 감도를 조절하는 액티브 센서를 탑재했다.  

 3D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사람과 자동차의 연계 향상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인터페이스다. 자동차 상태, 표지판과 교통 상황 등의 정보를 자동차 앞 유리창 너머의 도로 상에 겹쳐지도록 3D로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 토요타, 238마력 2.0ℓ 터보 직분사 엔진 내세워
▶ 포르쉐의 맞춤형 카이엔 S, 미국서 7,600만원 판매
▶ 한국닛산, 캐시카이 사전계약 돌입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