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전기차 보급 확산에 힘쓰는 서울시와 환경부가 연말부터 전기트럭에 대해서도 구입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관계자는 13일 "서울시와 환경부, 자치구, 민간기업, 전기트럭 개조 회사가 협력해 이르면 11월, 늦어도 내년부터 전기트럭 보급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시는 현재 전기트럭에 대한 국고 보조가 없어 환경부에 지원을 요청했고, 환경부가 11월부터 전기트럭을 전기승용차처럼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하는 데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보조금의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최근 지원이 시작된 전기승용차의 경우 1대당 최대 2천만원이 지급되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전기승용차뿐만 아니라 전기버스(CNG하이브리드버스), 전기택시, 전기오토바이에 대해서도 보조금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시 관계자는 "버스는 CNG, 택시는 LPG, 승용차와 오토바이는 주로 휘발유를 연료로 사용하는데 트럭은 경유를 많이 사용하므로 대기 질 개선 측면에선 화물차를 전기차로 바꾸는 게 더 의미 있다"고 설명했다.
시에 따르면 경유를 사용하는 2012년식 1t 트럭 1대가 1t 전기트럭으로 교체되면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연간 5.9㎏, 미세먼지 배출량은 0.4㎏ 줄어든다. 제작연도가 오래될수록 대기 질 개선 효과는 더 크다. 현재는 오래된 경유 트럭에 대기오염 물질 저감 장치를 부착하거나 조기 폐차하는 방법만 있다.
시 관계자는 "환경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면 먼저 소량의 전기트럭을 구매해 시 본청과 우체국, 대형마트 등에 시범운행을 해보고 나서 확대 보급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전기트럭 모델로는 0.5t급 파워플라자(인증)와 1t급 파워테크닉스(인증 절차 중)가 있다.
lis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