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 공공부문이 관리하는 전기차 충전기 10대 가운데 4대는 국민이 이용하기에 불편하거나 아예 이용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주영순 의원은 환경부가 최근 전국에 보급된 2천673대의 충전기 중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985대의 충전기를 상대로 실태점검을 해보니 이같이 파악됐다고 23일 밝혔다.
실태점검 결과를 보면 985대 중 397대(40.3%)가 일반인 출입제한, 충전 시 주차비용 징수, 퇴근 시 전원 차단, 안내 표지 미설치 등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이런 불편 때문에 급속 충전기 177대 중 140대(79%)는 1일 1회조차 이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는 1회 충전 시 실제 운행거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24시간 급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지만, 급속충전기 177대 중 56.5%만이 24시간에 걸쳐 충전할 수 있었다. 특히 전기차 충전기가 밀집한 수도권에서 69대 중 26대(35%)만이 24시간에 걸쳐 충전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 의원은 "일반 국민이 이용하지 못하게 만든 충전소를 만들려고 국민 혈세를 투입했느냐"며 "사업 초기 주먹구구식의 인프라 구축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차종에 따라 충전호환도 되지 않아 쏘울이나 레이가 아니라면 충전소를 찾아 헤매야 하는 실정"이라며 "전기차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용자의 처지에서 바라보고 편익이 담보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2020년까지 전기충전기 14만여 대를 설치하겠다고 발표하고 1천273억원의 예산을 투입, 올해 7월까지 2천673대의 충전기를 보급했다.
penpia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