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프라자, 서울서 전기트럭 실증 나선다

입력 2014년11월20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파워프라자가 서울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상용 전기차의 실증사업을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파워프라자에 따르면 이번 실증사업은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저공해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다. 총 6대의 전기트럭 중 파워프라자는 경상용 전기차 "피스" 4대와 1t  개조 전기트럭 1대를 투입한다. 전기트럭은 서울시청, CJ대한통운, 우정사업본부, 강동구청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한다. 택배, 폐식용유 수거, 화물운송, 에너지절약 홍보 등을 거쳐 성능을 평가하는 것. 이를 기반으로 내년 환경부와 협의를 통해 전기트럭 보급에 나선다는 게 회사 입장이다.

 서울시가 주목하는 부분은 1t  이하 소형 디젤트럭이 관리 사각지대에 있다는 점이다. 소형 트럭의 경우 저속주행이나 정차 후 공회전이 잦고, 매연저감장치(DPF)를 부착하지 않아서다. 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워 차 관리상태가 좋지 않아 배출가스도 많다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또 이번 실증사업이 하루 주행거리 50㎞ 정도로 짧은 도심택배 등이어서 전기트럭으로도 무리가 없다는 게 서울시 판단이다.

 경상용 전기차 피스는 지난해 국내 최초로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연구원(KATRI)에서 안전인증 평가를 받았다. 26㎾급 인덕션 모터를 탑재해 최고출력 35마력, 최대 적재무게 500㎏ 등의 성능을 갖췄다. 동력원은 17.8㎾h 리튬이온 배터리다. 품질보증기간은 7년 또는 15만㎞, 가격은 3,790만 원이다. 1t  개조 전기차는 지난 2009년 개발한 시제품으로 이번 사업 참여를 위해 지난해부터 상용화 작업을 시작했다.

 강희은 서울시 친환경교통과장은 "매연과 소음이 없는 전기트럭의 실증사업을 통해 수익성있는 사업모델을 발굴할 것"이라며 "서울 도심, 특히 주택가 대기질 개선에 획기적인 계기가 되도록 전기트럭 보급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내년부터 환경부와 함께 개인이 전기트럭을 살 때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보조금 등 세부 사항은 협의단계라고 시 관계자는 언급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광저우모터쇼 뒤흔들 화제의 차는?
▶ [시승]엔진 빼고 모두 변화, 토요타 2015 캠리
▶ 재규어, 최고 시속 1,609㎞에 도전한다
▶ 카시트 대용 "안전벨트 위치조절기", 제 역할 못해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