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자율주행 위해 실리콘밸리에 연구소 설립

입력 2015년01월23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포드가 글로벌 연구팀을 확대하고 커넥티비티, 모빌리티, 자율주행분야 기술 개발을 위해 팔로 알토 연구혁신센터를 개소한다고 23일 밝혔다.

 포드에 따르면 새 연구센터 수장은 드라고스 마치우카다. 그는 전자제품과 반도체 제조, 항공우주, 자동차 분야를 두루 거친 엔지니어로 애플을 떠나 포드에 합류했다. 혁신기술분야 선임기술리더로 창업기업 자문, 제품 개발 및 상품화, 산학협력 및 복합기능 팀 총괄 등 실리콘밸리의 다양한 경험을 활용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마치우카는 UC 버클리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하스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했다.

 포드는 팔로 알토 연구혁신센터 외에 글로벌 연구혁신센터 네트워크를 구축한 상태다. 특히 미시건 주 디어본에 위치한 연구혁신센터의 경우 첨단 전자,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재료 공학, 빅데이터 및 분석기술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독일 아헨 소재 연구혁신센터는 차세대 파워트레인 연구, 운전자 지원 기술 및 능동 안전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새로운 연구시설 개소로, 포드는 올해 말까지 연구인력 125명으로 구성된 실리콘밸리 내 최대 규모의 자동차 제조업체 연구센터를 확보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포드는 지난 2012년 실리콘밸리 내 첫 사무소를 개소한 바 있다.

 한편, 포드는 최근 열린 "2015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포드 스마트 모빌리티"를 소개했다. 커넥티비티, 모빌리티, 자율주행, 경험 및 빅데이터 분야의 혁신 가속화를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향후 팔로 알토 연구팀이 이 분야의 연구개발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폭스바겐, "자율주행 기술 주도권은 자동차에 있어"
▶ 2015 서울모터쇼, 뉴욕국제오토쇼와 정면대결?
▶ 한국지엠, "크루즈는 본래 흠잡을 데 없는 디자인"
▶ 아우디, 새 제품군으로 차급 올리기 나선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