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자동차 엔진 출력을 높여 연비를 개선한 부품을 국산화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재료연구소 경량금속연구단 김승언·나영상·김성웅 박사팀은 자동차 엔진 출력을 높이는 부품인 터보차저 휠을 국산화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수입 제품보다 강도가 높고 부식에 잘 견디는데다 제조 공정에서 유연함을 확보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기존 외국 자동차 업체에서 사용한 터보차저 휠을 만드는 데 사용한 타이타늄 알루미나이드(TiAL)계 합금을 대체할 수 있게 돼 비용 절감과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외국 업체에서 사용하는 TiAl 합금은 구성이 매우 복잡한데다 주조 상태에서 상온 연성이 거의 없어 불량률이 높았다. 또 니켈계 소재 대비 7배 정도로 가격이 비싸 대량으로 사용하지 못했다. 기존 소재는 사용 온도가 900도 이하였는데 연구팀이 개발한 합금은 사용 중 900도 이상 온도가 올라가는 휘발유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재료연구소는 새롭게 개발한 터보차저 휠을 양산하기 위해 국내외 정밀 주조업체와 공동으로 시제품을 개발하고 있어 하반기에는 양산화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김성웅 박사는 "이번 기술은 자동차업계 숙원인 터보차저 휠 국산화의 길을 연 것으로 기술이 상용화되면 우리나라도 경량 내열 부품소재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그룹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choi21@yna.co.kr